잠원 테니스장 상량문에 '龍'자 …'영원한 왕' 비난
여,"테니스장 개인 사유물로 생각"… 이 시장 고발·국조 추진
열린우리당이 이른바 '황제 테니스' 논란과 관련해 이명박 서울시장에 대한 파상공세를 연일 계속하고 있다. 한나라당이 골프문제로 곤욕을 치르던 이해찬 전 총리에 대해 퍼부은 맹공에 대해 앙갚음이라도 하듯, 공세의 수위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 정치권 인사는 "청계천으로 뜬 이 시장을 남산에 지게할 태세"라는 말로 여당의 압박 강도가 대단함을 표현했다. 급기야 이 문제에 대해 침묵을 지키던 정동영 의장이 직접 나서 국정조사 필요성과 검찰 고발 방침을 밝혔다.
우리당의 공격은 이 시장뿐만 아니라 박근혜 대표와 한나라당도 정면으로 겨누고 있다. 우상호 대변인은 박근혜 대표도 남산 테니스장을 이용한 사실을 들면서 남산 테니스장을 중심으로 이뤄진 권력유착 의혹을 밝히라며 한나라당을 압박하고 나섰다.
여당의 총공세 앞에서 한나라당은 별다른 대응을 못하고 속수무책이다. 이 시장과 가까운 이재오 원내대표만이 테니스를 친 것 자체로는 별 문제가 없는 것 같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분위기 반전의 기미는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편법 건축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서울 잠원동 실내테니스장 상량문에 임금을 뜻하는 ‘용(龍)’ 자와 함께 이명박 시장의 이름이 적혀 있는 것으로 21일 확인됐다. . 이에 따라 한나라당의 유력한 대권주자인 이 시장이 대권 꿈을 실현하려는 기원으로 이를 무리하게 적어 넣었다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당 '황제테니스 뇌물의혹 진상조사단'은 이날 오후 학교 부지에 편법 건립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잠원 실내 테니스장에 대한 현장조사 과정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힌 뒤 "상량문에 새겨진 '용'자와 '구'자에서 이 시장의 심리상태를 엿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장을 조사한 유기홍 의원은 "상량문에 사람 이름을 쓰는 경우가 거의 없어 이명박 시장 이름이 적힌 것은 대단히 특이하다"며 "거북은 십장생의 하나로 상량문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고 '용'자가 들어가는 경우는 거의 보지 못했는데 이는 대단히 오만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사단장인 우원식 의원은 "이 시장이 용 자와 구 자를 넣은 것은 '영원한 왕'을 지칭하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꼬집었다.
진상조사단은 또 상량문에 '서기 2005년 11월23일 서울특별시 시장 이명박'이라는 서명이 담겨있다는 점에도 주목했다. 개인 소유 건축물 등에 소유주 혹은 건축주의 이름이 들어가는 경우가 간혹 있긴 하지만, 전통적으로 상량문에는 사람의 이름을 쓰는 일이 거의 없다는 것.
유 의원은 "과거 큰 건물을 지을 때 임금이 자신의 이름을 상량문에 올렸던 것을 제외하곤, 그 같은 사례가 거의 없다"며 "이 시장이 건축주도 소유주도 아닌 상황에서 상량문에 자신의 이름을 올렸다는 것 자체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3517평 지상 2층 규모의 해당 시설엔 코트 3면과 4개의 개인 사물함, 샤워실, 휴게실 그리고 미니바 등이 갖춰져 있다. 진상조사단은 "현장을 확인한 지역주민들은 학교부지에 들어선 해당 시설이 일부 특권층을 위해 지어진 것이라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조사단장을 맡고 있는 우원식 의원은 "해당 시설은 대중이 이용하는 테니스장이 아니라 고급 별장이라 말해도 무방할 정도였다"며 "양극화가 심각한 시점에서 42억원이나 되는 예산을 들여 서울시가 이 같은 호사 시설을 짓는게 적절한 일인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고 비판했다.
한편 정동영 의장은 이명박 서울시장의 '황제 테니스’ 논란에 대해 "검찰 형사고발과 국정조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 의장은 이날 전남 여수에서 진행된 정책간담회에서"이해찬 전 총리가 40만원짜리 상금이 걸린 골프가 문제가 되어 사퇴했다면, 이명박 시장은 2천만원의 테니스장 사용료 대납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공정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정 의장은 이어"이 시장이 테니스를 쳤는데, 2천만원을 (다른 사람이) 대납한 것은 뇌물"이라며 "한나라당은 이 시장의 비리 의혹에 대해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하고, 검찰은 즉각 조사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