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조속개최 요구… 한나라당, 일단 버티기
한명숙 총리 내정자 에 대한 인사청문회 개최 여부가 난기류에 휩싸여 있다.
국회 법상 총리 인준 동의안 처리시한은 오는 19일이다. 하루빨리 청문회를 열자는 열린우리당과 `선(先) 당적포기-후(後) 청문회 논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한나라당간 힘겨루기가 좀처럼 풀릴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열린우리당은 본회의보고 절차 등을 감안, 12∼13일 청문회 개최를 한나라당에 제안한 상태다. 우리당은 유재건, 이목희, 송영길, 최재천, 박영선, 유승희, 의원 등 청문위원 진용짜기도 마무리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한 내정자의 당적 정리가 선행되지 않으면 청문회 일정을 논의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나아가 청문회 불참까지 불사하겠다는 강경 입장에서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한나라당 이재오 원내대표는 7일 "한 내정자의 책임 아래 5·31 지방선거를 치러야 하는데 당적을 버리지 않으면 우리로선 선거 중립 의지가 없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방호 정책위의장도"한 내정자가 총리 재임 중 당적을 버리는 게 어렵다면 지방선거가 끝날 때까지 한시적으로라도 그래야 한다"며"이마저 수용 못하면 청문회를 보이콧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한나라당의 당적포기 요구에는 다른 계산도 있어 보인다. 한총리 지명 이후 여당이'한명숙·강금실(서울시장 여당후보) 카드'를 내세워 지방선거에 여풍(女風)을 일으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포석 아니겠느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선 이 원내대표가 공언한 4월사학법 재개정안 처리를 위해 여당을 청문회 카드로 압박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열린우리당 김한길 원내대표는 7일 한나라당이 한명숙 국무총리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보이콧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당적 이탈 요구나 5월 지방선거의 중립성 확보 문제 등을 청문회에 와서 얘기 하는게 마땅하지 않냐"면서 "조건을 앞세워 청문회를 거부한다면 국민들로부터 정당한 평가를 받기 힘들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의원동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이 주장하며 "국회가 법을 만드는 곳이니까 법이 정한대로 운용되는 것은 교과서적인 일인데 그게 어렵다"면서 "4월 임시국회 첫날부터 국회처럼 법대로 안되는 곳이 있을까 하여 답답한 심정이었다"고 토로했다.
이처럼 인사청문회 개최를 둘러싼 여야간 기싸움이 전개되는 것은 5.31 지방선거를 앞둔 기선잡기 차원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이런 가운데 양당 원내대표가 8일 만찬회동을 갖고 인사청문회 개최에 대한 논의에 나설 예정이어서 극적 조율 여부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