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두가지 방안 놓고 고심중
치마를 입은 여성들이 청계천을 오르내리기가 불편하다고 지적돼온 ‘청계천 계단 문제’가 장마 이후 해결될 전망이다. 23개로 돼있는 청계천 계단은 발판과 발판 사이 공간이 뚫려 있다. 장마나 폭우로 인해 청계천 수면이 상승하더라도 물이 잘 흐를 수 있도록 치수(治水) 기능에 충실한 구조로 설계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때문에 노출돼서는 곤란한 치마 속 옷이 산책로를 따라 걷는 사람들에게 목격되는 일이 잦아지면서 빈 공간을 막아달라는 여성들의 민원이 있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현재 2가지 해결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첫 번째는 나무판 등을 덧대는 방식으로 발판을 계단 뒤쪽으로 연장해 치마 속을 볼 수 없도록 한다는 것. 아래에서 위쪽으로의 시야는 가리지만 발판 사이 공간은 여전히 개방돼 있어 물을 흘려보내는 데 차질이 없다는 것이다. 또 다른 방안은 빈 공간에 딱 맞는 나무판이나 플라스틱판을 양쪽 끝에 경첩으로 설치하는 계획이다. 평소에는 공간이 막혀 있게 되지만 물이 불어나면 유속에 의해 판이 열리는 구조다.
서울시는 21일부터 다음 달 중순까지 이어지는 장마기간에 예상대로 치수에 악영향이 없는지를 따져본 뒤 실제 공사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