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노조, 3자논의…與 노사 협의
대우조선노조, 3자논의…與 노사 협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사·정 논의 여부에 따라 파업중단, 지원중단 중대기로
▲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파업 찬반 투표가 가결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정치권이 이에 가세하면서 구조조정이 정치논리로 흘러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노조가 파업 찬반 투표에 돌입한 것은 구조조정이 인력 구조조정에 사진/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김용철 기자] 대우조선해양노조는 지난 13일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파업 찬반 투표가 가결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정치권이 이에 가세하면서 구조조정이 정치논리로 흘러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노조가 파업 찬반 투표에 돌입한 것은 구조조정이 인력 구조조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구조조정의 중점인 특수선 사업 분할에 대해 반대하고 있어서다.

지난 8일 발표한 대우조선해양 자구계획은 직영 인력을 2020년까지 20%감축하고, 직영인건비 30%이상 절감, 임직원 임금 20%반납 한다는 계획이다. 게다가 사무직에 성과연봉제 도입, 생산직에 직무급제 도입이다. 또 2020년까지 자회사 14개를 단계적 매각과,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 2기 매각, 특수선 사업부문은 물적 분할 등을 담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파업 찬반 투표 결과 여부에 따라 파업이 될지 안 될지도 모르고 파업이 가결된다 할지라도 곧바로 파업에 들어가는 것은 아니기에 현재로선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노조에 따르면 파업 찬반 투표가 가결되면 입장을 발표하고 중앙노동위원회 쟁의 신청 절차를 거쳐 파업 절차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현재로선 파업 찬반이 가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14일까지 조합원 7000여명이 찬반 투표에 참여해 파업 찬반여부를 결정한다.

노조는 사측과 채권단의 일방적 통행으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선택지로 파업찬반 투표를 실시했다. 노조는  경영진의 책임소재 보단 인력 구조조정과 특수선 분할에 초점이 맞춰져있는 구조조정에 반대하고 있어 어떻게든 저지해야 하는 상황이다.

노조는 채권단과 경영진 노조가 함께 하는 3자 대화를 원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방적인 구조조정에 반대하고 협의를 통해 구조조정에 재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풀이된다.

조현우 대우조선노조 정책실장은 시사포커스와의 통화에서 파업찬반 투표를 한 배경에 대해 “대우조선해양 자구계획 발표이전부터 언론에서 대우조선 특수선사업 분할매각, 삼성합병설이 흘러나와서 이런 식의 구조조정 방향은 바람직하지 않고 회사에 독이 되기에 채권단과 사측과 노조가 함께하는 3자논의를 제안했는데 사측이 지난 8일 일방적으로 발표해서 파업찬반 투표를 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조 정책실장은 “찬반투표가 가결이 되더라도 3자논의가 진행되면 파업은 하지 않는다”며 “8일에 발표한 내용대로 특수선 분할 매각을 진행하면 파업이 진행될 수밖에 없다”고 모든 책임을 사측과 채권단에 돌렸다.

노조에 따르면 구성원들 사이에선 최근까지 고통분담을 하고 있는 가운데 자구계획이 구성원의 일방적인 고통분담을 강요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라서 불만을 표출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자체 구조조정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위적인 구조조정에 반대한다는 것. 채권단은 노조가 파업을 진행하면 지원중단 카드로 노조를 압박하고 있다.

한편, 새누리당은 논평을 통해 “막대한 혈세가 들어간 상황에서 고통분담의 심정으로 사측과 협력해 경영정상화에 나아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새누리당 김현아 대변인은 “지난해 4조가 넘는 금액을 긴급 지원받으면서 노조가 일체의 쟁의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동의서를 채권단에 제출했음에도 그 약속을 깬다는 것은 무책임한 행태다”며 “노조가 ‘기득권 지키기’에 나서는 것에 걱정이 앞선다”고 우려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