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협상 재개
이란 핵협상 재개
  • 윤여진
  • 승인 2006.09.06 09: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U-이란, 6일 빈에서 회동
유럽연합(EU)과 이란은 오는 6일 빈에서 핵협상을 재개하기로 잠정 합의했다. 이 사실을 밝힌 유엔 관리들은 협상일정과 장소는 상황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고 밝혔다.

AP통신에 따르면 EU의 외교 당국자와 이란의 핵협상 대표는 4일 밤 이란의 핵 개발 프로그램을 둘러싼 막바지 협상을 갖기로 의견을 모았다. 지난 주에도 하비에르 솔라나 EU 대외정책 대표와 회담을 갖는 데 동의했다는 소식이 알려진 바 있다.

이 같은 결정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요구한 최종시한(8월 31일) 이후, EU가 이란에게 우라늄 농축에 대한 입장을 최종결정하는데 준 2주간의 시간이 만료되는 데 따른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란 핵 개발을 이끈 것은 1977년의 미국이다.

중동에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해 이란정부에 깊이 간섭한 미국은 이란에 핵 기술을 지원했다. 1979년의 호메이니 혁명으로 상황은 급변했다.

현재 EU는 솔라나 대표와 알리 라리자니 이란 핵협상 수석대표가 이란의 핵프로그램 관련 협상안을 마련하기 전에는 아무런 제재조치도 취하지 않을 예정이다. 반면 미국은 이란의 우라늄 농축이 핵폭탄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미국은 이란이 핵 농축을 전면 중단하지 않을 경우, 외교·경제 제재를 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1일에는 "이란에 대한 제재조치를 취할 것을 EU에 제안했으나, EU는 대화를 원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며 불만을 표시했다.

만일 EU가 이란 제재에 동참하지 않을 경우, 동참하는 다른 국가들만으로 제재 조치를 가시화할 전망이다. 이란은 중수공장 가동과 미사일 실험 등을 통해 미국의 요구에 굴복할 의사가 없음을 우회적으로 표명했다.

이미 이란은 미국 주도의 제재 상황을 경험한 바 있어 오랜 기간 면역이 생긴 상황이다.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은 "핵 활동은 중단할 수 없다"는 입장을 거듭 밝힌 바 있다.

이란 의회도 미국이 제재를 가할 경우,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을 봉쇄할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게다가 레바논 사태의 영향으로 오일 머니를 충분히 확보한 상태라, 석유무역 제재가 시행될 경우 이란보다는 석유수입국에 압박으로 작용할 것이다.

석유무역 제재에 착수할 경우 '석유의 축(Axis of Oil)' 국가들이 결집할 수도 있다. '석유의 축'이란 미국 학자들이 발표한 개념으로, 중국·러시아·이란·베네수엘라 등 석유를 중심으로 한 반미 국가연합을 지칭한다.

중-러 전략연대를 기반으로 한 이 세력은 중동, 남미, 아프리카까지 확장될 여지가 보인다. 한편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러시아, 미국, 영국, 중국, 프랑스) 5개국과 독일 외무장관은 오는 7일 독일 베를린에서 차후 행보를 논의한다.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이 담판을 짓기 위해 3일 EU와의 협상으로 생산적인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다음 협상의 주도권은 중국으로 넘어갈 듯하다. 중국은 현재 자발적으로 중재에 나설 의사를 보이고 있지 않지만, 경제발전에 있어 이란과의 협력을 무시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태가 무력대결로 번질 경우, 양자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