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지진 희박 vs 지진 안전지대 아냐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보다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원전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지금부터라도 철저한 대비를 갖춰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반론도 만만치 않다. 6.5이상의 강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희박하고 현제 원전 내진설계는 규모 6.5~7.0에도 견딜 수 있도록 건설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원자력안전기술원(KINS)는 "지진활동도가 낮은 지역으로 학술적으로는 안정대륙지역으로 분류되며, 규모 6.5 이상의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주장했다.
국내 원전에 대한 지진 안전 대책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미국 규제기관(US NRC)의 규제기준과 대등한 수준이다. KINS에 따르면 부지선정, 설계, 건설 및 운영까지 단계별로 엄격한 규제기준에 따라 원전부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지진동에 안전여유를 감안해 결정됐다는 주장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지진활동도가 낮은 지역으로 학술적으로는 안정대륙지역으로 분류돼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고 활동성단층에 의한 지진동 및 지표변형도 고려 원전을 설계하고 있다.
국내 단계별 지진대책은 4단계로 이뤄졌으며, 4단계 마직막 단계인 운전단계시 지진감시계통 정기검사에서 0.01g 초과시 경보가 울리고, 0.1g 초과 시 가동이 중지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