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불량품’ 시인한 정부, 기한연장 꼼수도 안 먹힐 전망

교육부는 오는 3월 새학기부터 국정 역사교과서 최종본 사용을 원하는 학교를 ‘연구학교’로 지정하고, 교원승진 가산점 및 학교에 1천만원 지원 조건을 내걸며 회유(?)에 나섰다.
하지만 이러한 '빵빵한' 혜택에도 시중학교에서 철저히 외면을 당함에 따라, 지난 2013년 채택률 0%로 사망선고를 받은 ‘교학사 교과서 시즌2’가 된 모양새다.
교육부는 그러자 당초 오는 10일로 예정됐던 연구학교 신청 기한을 5일 더 연장했다.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방학기간이라 일선 학교에서 신청을 안 한 거 같다. 또 연구학교 신청 일정을 연기하는 것이 좋겠다는 학교 현장의 의견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기간연장을 희망했다는 학교의 명단 및 사유를 밝히진 않았다.
하지만 기한연장 ‘꼼수’에도 교육부의 뜻대로 많은 학교들이 참여할지는 극히 의문이다. 또 연구학교 숫자를 늘리기에만 급급한 모습이다.
교육부는 현장검토본의 오류 등 760건을 수정·보완해 최종본을 완성했다고 했으나. 민족문제연구소는 교육부가 발표한 내용 외에도 312건이 추가로 수정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민족문제연구소와 전국역사교사모임 등이 참여한 역사교육연대회의는 고교 국정교과서에서만 추가로 653건의 오류가 발견됐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결국 이러한 지적에 교육부는 최종본 공개 이후에도 계속해서 수정작업을 하겠다고 밝히는 등, 심각한 불량품임을 스스로 자인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