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택 준대도, ‘채택률 제로’ 외면당하는 국정교과서
혜택 준대도, ‘채택률 제로’ 외면당하는 국정교과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미 ‘불량품’ 시인한 정부, 기한연장 꼼수도 안 먹힐 전망
▲ 논란의 대상인 국정 역사교과서를 사용하겠다는 학교가 단 한곳도 등장하지 않았다. 교육부는 신청기한을 5일 더 연장했지만 신청할 학교가 나타날지는 극히 미지수다. ⓒ뉴시스
[시사포커스/고승은 기자] 논란의 대상인 국정 역사교과서를 사용하겠다는 학교가 단 한곳도 등장하지 않았다.
 
교육부는 오는 3월 새학기부터 국정 역사교과서 최종본 사용을 원하는 학교를 ‘연구학교’로 지정하고, 교원승진 가산점 및 학교에 1천만원 지원 조건을 내걸며 회유(?)에 나섰다.
 
하지만 이러한 '빵빵한' 혜택에도 시중학교에서 철저히 외면을 당함에 따라, 지난 2013년 채택률 0%로 사망선고를 받은 ‘교학사 교과서 시즌2’가 된 모양새다.
 
교육부는 그러자 당초 오는 10일로 예정됐던 연구학교 신청 기한을 5일 더 연장했다.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방학기간이라 일선 학교에서 신청을 안 한 거 같다. 또 연구학교 신청 일정을 연기하는 것이 좋겠다는 학교 현장의 의견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기간연장을 희망했다는 학교의 명단 및 사유를 밝히진 않았다.
 
하지만 기한연장 ‘꼼수’에도 교육부의 뜻대로 많은 학교들이 참여할지는 극히 의문이다. 또 연구학교 숫자를 늘리기에만 급급한 모습이다.
 
교육부는 현장검토본의 오류 등 760건을 수정·보완해 최종본을 완성했다고 했으나. 민족문제연구소는 교육부가 발표한 내용 외에도 312건이 추가로 수정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민족문제연구소와 전국역사교사모임 등이 참여한 역사교육연대회의는 고교 국정교과서에서만 추가로 653건의 오류가 발견됐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결국 이러한 지적에 교육부는 최종본 공개 이후에도 계속해서 수정작업을 하겠다고 밝히는 등, 심각한 불량품임을 스스로 자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