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회찬 “대통령 4년 중임제로 권력분산 방안 검토해야 개헌정국 타개”
노회찬 “대통령 4년 중임제로 권력분산 방안 검토해야 개헌정국 타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의 권력분산은 승자독식 타파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긍정적으로 동의 이뤄지고 있어”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의 공동교섭단체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 첫 등록대표인 노회찬 원내대표는 4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저는 20대 국회가 대통령 탄핵 이후 제대로 한 일이 없다고 생각한다. 이제 두 달 있으면 20대 국회 전반기가 흘러간다.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라며 “스스로 한 약속도 안 지켜서 아무것도 처리가 안 되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사진 / 유용준 기자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의 공동교섭단체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 첫 등록대표인 노회찬 원내대표는 4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저는 20대 국회가 대통령 탄핵 이후 제대로 한 일이 없다고 생각한다. 이제 두 달 있으면 20대 국회 전반기가 흘러간다.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라며 “스스로 한 약속도 안 지켜서 아무것도 처리가 안 되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사진 / 유용준 기자

[시사포커스 / 문충용 기자]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가 개헌안과 관련해 “대통령 4년 중임제를 기본으로 권력분산 세부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개헌정국을 해소하는 가장 큰 타개책”이라고 방침을 제시했다.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의 공동교섭단체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평화와 정의) 초대 등록대표인 노회찬 원내대표는 4일 국회에서 첫 번째 기자간담회를 열고 ”저는 20대 국회가 대통령 탄핵 이후 제대로 한 일이 없다고 생각한다. 이제 두 달 있으면 20대 국회 전반기가 흘러간다.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라며 “스스로 한 약속도 안 지켜서 아무것도 처리가 안 되고 있다”고

이어 “1년 전 대통령 선거에서 5당 대선후보가 국민 앞에 약속한 공통 공약만 제대로 추진해도 상당한 진척을 볼 수 있고 그 혜택은 모두 국민에게 돌아간다. 공통공약은 우리 조사만 해도 30개가 넘는다”며 “이것을 다시 정비해서 각 당이 즉각 힘을 합쳐 통과시킬 것을 요구한다. 그렇지 않으면 국민 앞에 거짓 공약한 것임을 자행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또 “기본적으로 대통령제와 이원집정부제로 나뉘는데 이는 디젤차와 휘발유차 같다. 뭘 살 지 결정하고 전륜이냐 4륜이냐, 에어컨을 넣냐 마냐 등 여러 옵션이 있다. 그 기본을 정하고 권력분산을 해야 타협이 가능하다고 본다”며 “어느 것 하나 택하지 않고선 타협이 안 되고 두 가지를 섞는 타협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비유했다.

노 원내대표는 “권력분산 방안 협의에 들어가면 이건 한 달 이내 끝날 수 있다. 그러나 결단 얘기만 하면 한참 얘기하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며 “대통령 4년 중임제를 기본으로 해서 권력분산 세부방안을 검토해 들어가는 것이 난맥상인 개헌정국을 해소하는 가장 큰 타개책이라고 본다”고 해법을 제시했다.

그는 이날 오전 교섭단체 원내대표 회동에 처음 참석한 것에 대해 “제가 확인한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 남북대화보다 더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각자 생각만 고집하는 상황”이라며 “이 상황이 시정되지 않고 계속되면 6월말까지 합의가 불가할 것이다. 연내 개헌도 불가능할 것”이라고 비관적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노 원내대표는 “지금 상황을 타결해야 하고 그 일을 평화와 정의가 앞장서서 해보고자 한다”며 “개헌의 핵심은 분권이다. 이는 대통령 국회 대법원 중앙정부 등 헌법에 주요하게 등장하는 권력을 분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회의 권력분산은 승자독식을 타파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라며 “구체적 내용까지는 아니지만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는 점에서 동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본다”고 여지를 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