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직원 이주대책 및 출퇴근, 기반시설 등 특단 대책마련
전남도는 오는 10월 남악신도시로의 전남도청이전을 앞두고 공무원 이주대책 및 기반시설 등 각 분야별 현안사항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고 신청사 이전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는데 실국별 특단의 대비책을 마련키로 했다.
박준영 도지사는 지난4일 도청상황실에서 실국장 등 관계공무원이 참석한 가운데 도청이전을 위한 대토론회를 갖고 주거와 교육시설 등 신도시의 기반여건 부족 등을 이유로 도청이전 시기를 연기해 달라는 직장협의회의 건의에 대해 도청이전은 도민과의 약속이라며 오는 10월 정상적인 이전계획을 확고히 했다.
박지사는 이날 토론회에서 "경남도청도 창원으로 이전시 허허벌판에 건물만 들어선 상태에서 이전이 강행됐다"며 "건물이 완공된 뒤 이전을 미룰 경우 또 다른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하고 당초 이전 계획을 재천명 했다.
특히 이날 토론회에서 박지사는 축산기술연구소와 공무원교육원은 반드시 남악신도시로 이전하는 것보다 기관의 성격을 면밀히 파악해 적절한 곳에 있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직원들의 이주지원비를 현재 50만원에서 70만원으로 늘리고 도청이 옮길 남악신도시에 대해 새로운 이름을 공모해 도민들로부터 호감을 살 수 있는 지명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박지사는 특히 직원들의 이주에 대한 도차원의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교통비로 길거리에 돈을 낭비하는 것보다 이를 줄여 이에따른 비용을 이주를 위한 인센티브로 지원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도는 당분간 광주에서 열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광주역을 비롯 송정역, 나주역, 임성역 등 4개역만 통과해서 45분의 소요시간이 걸리도록 철도청과 협의하는 등 현재 추진중인 목포-광양간 고속버스 운행방안도 강구키로 했다.
한편 전남도가 13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건립키로 했던 보육시설도 신축건물을 재검토해 신청사내 마련할 수 있도록 한데 이어 유관기관 또한 전남도가 별도 건물을 지어 싼값에 임대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키로 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