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문화방송)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2일 인사위원회를 열어 정영하 노조위원장과 강지웅 노조사무처장을 해고하는 등 노조간부 3명과 보직사퇴간부 4명 등 7명에 대해 중징계를 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MBC인사위원회는 이날 두 달 넘게 파업을 이끈 책임을 물어 정 위원장과 강 사무처장에 대한 해고처분과 함께 장재훈 노조정책교섭국장에겐 정직 3개월의 징계처분을 결정했다. 또 인사위는 보직사퇴 뒤 파업에 참가한 간부 4명에게도 ‘취업규칙상의 직무의무 위반’을 들어 중징계를 내렸다. 모 광고부국장은 정직 3개월, 모 시사교양 4부장과 홍 모 전 서울경기지사 제작사업부장, 이 모 전 편성콘텐츠부장은 정직 2개월이 내려졌다. 사측은 이 결정에 대해 김재철 사장의 결재가 나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지만, 앞서 2월29일과 3월5일 박성호 기자회장과 이용마 노조 홍보국장을 해고한 바 있다.
정영하 위원장은 이에 대해 “공정방송 복원을 위해 파업으로 맞선 노조의 얼굴을 난도질했다”며 “노조는 분노와 결기를 담아 김재철 사장 퇴진으로 이어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MBC방송사 아나운서협회와 기자회는 이날 서울 여의도 사옥에서 검은 정장차림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사측이 프리랜서 앵커 5명을 파업대체인력으로 채용한 데 대해 강력하게 항의했다. 이들은 “뉴스의 최후 전달자인 앵커는 보도의 공정성을 사수해야 하는 묵직한 자리인데 신분이 불안한 임시계약직으로 대체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채용철회를 요구했다. 사측은 특보를 통해 “파업으로 두 달 넘게 비어 있는 앵커자리을 그대로 둔 채 ‘반쪽 방송’을 계속할 수 없는 회사의 고육지책”이라고 반박했다.
MBC 사측은 지난달 29일 프리랜서 앵커 5명을 뽑고, 이들을 뉴스보도와 4·11 총선방송 등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