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청년층 고용률 40% 이상, 비수도권보다 높아…
수도권 청년층 고용률 40% 이상, 비수도권보다 높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 취업박람회 현장. / 출처: 경기도 공식 블로그

고용노동부는 27일 16개 시·도별 산업구조와 노동시장의 특징을 분석한 '우리 지역 노동시장의 이해' 자료집을 발간하며 "지난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 수도권의 고용률은 40%를 넘는 데 비해 충남과 제주를 제외한 비수도권의 청년층 고용률은 30%대에 머물렀다"고 밝혀, 15~29세의 청년층 고용률이 비수도권보다 수도권에서 10% 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2011년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사업체 중 42.5%(147만개)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밀집해 있었고 농림어업과 광업, 전기·가스·수도사업을 제외한 모든 사업이 서울과 경기지역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광주와 부산, 강원, 전북 등에서 비경제활동인구의 비중이 전국 평균(38.7%)보다 높은 40%로 나타났는데 주된 이유로 '가사'와 '통학'이 꼽혔다.

방하남 고용부 장관은 고용률 70%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실효성 있는 대책을 수립·추진하기 위해 이번에 '우리 지역 노동시장의 이해'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고용부가 지난해 실시한 사업체노동력조사에 따르면 5인 이상의 상용근로자가 일하는 사업체에서 주당 근로시간은 울산이 44.2시간, 제조업 비중이 높은 대구가 44시간, 경남지역이 43.7시간으로 전국평균 41.1시간보다 오래 일했다.

반면 월급은 금융서비스업과 대다수 기업체 본사가 위치한 서울지역(300만7000원)이 가장 높았으나 자동차와 조선, 정유 등 대규모 사업체가 있는 울산(293만7000원)도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