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별 수능 폐지, 2017학년 수능 문·이과 구분 없애…
수준별 수능 폐지, 2017학년 수능 문·이과 구분 없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까지 틀은 유지하나, 곧 대입제도 바꿀 것
▲방송 인터뷰 중 서남수 교육부장관. / 출처: YTN 뉴스

교육 현장에 큰 혼란을 야기했던 수준별 수능이 올 한 해만 치러지고 폐지될 예정이다.

수능 체제 개선도 추진되어 현재 중학교 3학년들이 응시하게 될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문과·이과 구분을 없애는 방안도 검토된다. 한국사는 2017학년도부터 사회탐구 영역에서 분리돼 수능 필수과목이 되고, 2015∼2016학년도 수능에서는 영어의 A/B형 구분이 폐지된다.

교육부는 27일 2016학년도까지는 현행 대입제도의 틀을 유지하는 선에서 일부 손질하고, 2017학년도부터는 대입제도를 바꾸기 위해 검토할 수능개편안 3가지를 제시하는 ‘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방안(시안)’을 발표했다. 어떤 경우든 한국사는 2017학년도부터 사회탐구 영역에서 분리해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되, 수험부담을 최소화하도록 출제하겠다는 것이다.

2017학년도 수능은 지금의 토대를 유지하는 쪽으로 우선시하면서 문·이과 구분을 일부 또는 완전히 없앨 예정이다. 국·영·수·사·과·한국사 6과목이 문과 이과 구분 없이 공통으로 출제된다.

현재 고교 1·2학년이 응시하는 2015∼2016학년도 수능의 경우 국어와 수학은 현행 수준별 A/B형 체제를 유지할 예정이나 영어는 A/B형 구분을 없애고 단일화시킨다.
사회와 과학은 내년부터 고교에 도입되는 공통사회 성격의 ‘사회’ 와 일부 고교에서 채택 중인 융합과학인 ‘과학’에서 출제하게 된다.

내년 고1 부터 성취평가제(절대평가제)를 적용하지만, 대입 반영은 2019학년도까지 유예하기 때문에 특목고 학생들이 성취평가제로 내신에서 유리해질 가능성이 없어졌다. 2015학년도부터 수시모집 1·2차를 통합해 9월 초 1차례 원서를 받고, 수능 최저학력기준도 반영하지 않도록 한다.

대입에서 수능과 함께 핵심 전형요소인 학생부는 현 석차 9등급제(상대평가제)를 유지한다.

매 11월 첫째 주에 시행하던 수능 날짜를 내년에는 11월 둘째 주로 늦추고 2017학년도 이후에는 11월 마지막 주 또는 12월 첫째 주에 실시하기로 했다. 대학별 면접고사와 적성고사는 폐지를 권하고, 대입 전형요소를 수능·학생부·논술 혹은 실기 등으로 간소화할 예정이다.

대학별 전형방법은 수시 4개, 정시 2개 이내로 제한되며, 공통원서접수시스템은 2015학년도 국립대 정시모집을 시작으로 2017학년도에 전면 도입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