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최근 5년간 불임으로 인한 진료환자가 2008년 16만2000명에서 2012년 19만1000명으로 연평균 4.2%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체 진료환자는 여성이 80% 가까이 차지했지만 연평균 증가율에서 남성이 11.8%로 여성(2.5%)보다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 불임을 여성의 책임으로 전가하는 사회적 풍조가 점차 사라지며 남성들의 검사비율이 높아지고 업무 스트레스와 환경 호르몬 등 남성인자의 증가와 연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정재은 교수는 "과거에 여성의 책임이라고 전가했던 불임에 대한 사회적 풍조가 옅어지면서 근래에 남성 인자에 대한 검사가 활발히 이루어져 치료를 받는 남성이 매우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업무 스트레스와 고령화, 환경 호르몬 등으로 인한 남성인자의 증가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실제로 남성인자 검사 전 약 10일 정도 금욕 생활을 하고 금연, 금주 후 검사를 하면 과거 정자의 운동이 좋지 않았던 경우도 회복돼 좋은 결과가 나올 때도 있다"고 덧붙였다.
2012년 기준 인구 10만명 당 나이별 진료환자 수는 30~34세 여성이 3658명으로 가장 많았고 35~39세 여성(1920명), 25~29세 여성(1352명) 등의 순이었지만 최근 5년 동안(2008~2012년) 연평균 증가율은 30대 중후반에서 40대 초중반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남성은 35~44세의 증가율이 16.2%로 가장 높았고, 45~49세가 12.8%로 뒤따랐다. 반면 여성은 35~39세와 40~44세의 증가율이 10%대로 가장 높았으며, 20대 여성은 5~7% 감소했다.
정 교수는 "결혼 시기는 30대 초반 이후로 임신 시도 시기는 30대 중반으로 몰리는 경향이 있다. 통상 결혼 후 1~2년은 자연 임신을 시도하다가 실패한 후 병원을 찾게 되는 시기로는 35세 이상이 많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