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월호 참사 희생자·실종자·생존자 가족대책위원회(가족대책위)가 1일, 국회 '세월호 침몰사고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중 나타난 기관장들과 국조특위 위원들의 불성실한 태도를 조목조목 짚고 따졌다.
전날 국회 국정조사 과정을 지켜본 가족대책위는 이날 오전 '6·30 국정조사 모니터링 보고서'에서 먼저 강병규 안전행정부 장관을 향해 "사고 초기 중앙재난안전본부를 지휘했음에도 '표면공급식 잠수'가 무엇인지 모른다고 답했다. 또 사고 인지(認知)를 늦게 하고 구조된 인원을 잘못 파악해 대응 과정에서 혼선을 초래한 것이 모두 해경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등 시종일관 책임 떠넘기기 식의 무책임한 태도로 답변했다"고 비판했다.
가족대책위는 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인 김관진 전 국방부장관에 대해서도 "김 전 장관은 국방부 장관 이·취임식에 참석해야 한다는 이유로 단 세 시간 동안만 국정조사 회의장에 자리했다"면서 "김 전 장관의 이러한 태도는 국방부가 이번 국정조사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세월호 사고에 대해 어느 정도 책임의식을 가지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고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대책위의 비판은 보고기관장들에게 국한되지 않았다.
가족대책위는 심재철 특위위원장을 향해서도 "국정조사 과정에서 보고기관장의 책임 회피 발언을 하루 종일 듣고 난 직후 다시 심 위원장의 '소관 사항 아니다'라는 말을 들으니, 국정조사 대상 기관과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차이가 무엇인가 하는 의문이 들었다"는 개탄까지 나왔다. 대책위가 세월호 국정조사가 지상파로 생방송될 수 있도록 취재요청을 해달라는 요구에 심 위원장은 ‘자기 소관 사항이 아니다’라고 답변했던 것이다.
그러나 대책위는 "심 위원장이 국정조사 첫날 기관보고를 마치고 유가족들에게 방송사에 협조 공문을 보내겠다고 약속한 만큼 이를 성실히 이행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른 새누리당 의원들의 태도도 비판을 면하지 못했다. 본인의 질의시간이 아닌 경우 장시간 자리를 비운 일부 새누리당 의원들을 지적하며 "심한 경우 여당 측 의원의 절반 정도가 자리를 비운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고 대책위는 밝혔다.
새누리당 이재영 의원은 ‘추상적인’ 얘기로 시간을 보냈고, 같은 당 이완영 의원에 대해서는 "다른 의원의 질의시간에 장시간 조는 모습을 보이는가 하면 지지부진한 국정조사 진행에 분통을 터뜨리는 유가족을 보며 ‘내가 당신에게 말했냐’, 소리를 높이기도 하고 때로는 시끄럽다는 의미로 '경비는 뭐하냐'고 말하는 등 조롱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여야가 진도 현장 기관보고 실시 문제로 이견이 커져 국정조사가 잠시 파행한 데 대해 "국회가 국정조사를 수행할 능력과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싸잡아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