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지향적인 백화점 대응 절실

백화점에서 판매한 의류나 신발 문제 중 한국소비자원에 심의를 의뢰한 제품 절반 이상이 품질 하자로 밝혀졌다.
2일 한국소비자원이 2011년부터 2014년 4월 말까지 백화점이 한국소비자원 섬유제품심의위원회에 심의를 의뢰한 건은 총 4554건으로 전체 심의 건의 20.1% 이르며 이중 절반 이상은 2319건에서 ‘품질하자’가 확인 됐다고 밝혔다.
이중 소비자 과실은 17.3%, 세탁업자 과실은 2.3%에 불과했다.
섬유제품심의위원회는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섬유제품의 하자에 대한 원인과 책임소재를 규명하기 위한 심의 기구이다.
백화점별 의뢰 건수로 살펴보면 ‘롯데’가 1568건으로 가장 많았고 ‘뉴코아’가 984건으로 뒤를 이었으며 ‘현대’ 788건, ‘신세계’ 537건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품질하자 비중이 가장 높은 백화점은 ‘뉴코아’ 54.5%, ‘롯데’ 51.7%, ‘현대’ 50.4%, ‘신세계’ 48.6%로 나타났다.
품질하자로 판명된 2319건 중 91.9%는 백화점에서 이를 인정하고 구입자를 환급하거나 교환, 수리 등의 조치를 이행했다.
한국소비자원은 “백화점과의 간담회를 통해 백화점 판매 제품 및 사후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고려할 때 보다 자발적이고 소비자지향적인 백화점의 업무 처리 방식이 필요함을 지적하고 개선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해당 분석 결과의 자세한 정보는 소비자 종합정보망인 스마트컨슈머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시사포커스 / 이지숙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