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암 치료에 새 패러다임 제시할 가능성 기대”
몸 세포를 이루는 유전자 중의 하나인 'DKK3'가 암세포를 억제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중앙대병원은 산부인과 이은주 교수팀은 해당 유전자를 이용해 암 치료제를 연구 개발 중이라고 2일 밝혔다.
연구진은 DKK3 단백질이 여러 암세포에서는 세력이 약화되었다가, 이 유전자를 다시 발현시켰을 때 암세포 성장을 촉진시키는 ‘베타 카테닌(beta-catenin)’의 발현을 억제시켜 결과적으로 암세포 성장을 억제한다는 것을 세포 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이 교수는 "지금까지의 임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다학제적(多學際的) 연구진에 의해 임상 바이오 마커(bio-marker)로 활용 및 암 치료제 개발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진행 중에 있어 향후 암 치료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기대했다.
바이오 마커란 단백질이나 DNA, RNA(리복핵산), 대사 물질 등을 이용해 몸 안의 변화를 탐지할 수 있는 지표를 말한다.
연구진은 지난달 이 연구성과를 중국에서 열린 ‘아시아 유전자 치료 심포지엄(Symposium of Ease Asian Gene Therapy Innovative Group)’에서 발표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