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 인천공장 매각, 출자 전환 등 시나리오 다양

동부제철은 금융권과의 자율협약을 맺음으로써 곧 돌아오는 채무를 상환할 수 있어 유동성 위기에서 한숨 돌릴 수 있게 됐다. 당장 회사채 만기 도래분 700억 원에 대한 차환을 발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채권단은 향후 3~4개월 내 동부제철에 대한 실사를 마치고, 오는 9월 말께 경영정상화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채권단은 또한 동부제철 정상화를 위해 ‘차등 감자(減資)’를 실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차등감자는 대주주와 소액주주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에 대해 대주주의 감자 비율은 높게 하고, 소액주주의 감자 비율은 낮게 하는 것이다.
대주주에게는 경영책임을 물을 수 있고, 반면 소액주주의 피해는 최소화할 수 있다.
차등 감자가 실시될 경우 감자 비율에 따라 김준기 동부 회장과 자녀들의 지분율은 크게 줄어 경영권을 상실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재 김 회장은 현대제철 지분 4.79%를 보유하고 있으며, 장남 남호 씨는 8.77%, 장녀 주원 씨는 1.48%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채권단은 동부제철의 정상화를 위해 감자와 함께 인천공장 매각, 출자 전환 등 여러 가지 방안이 고려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확히 어떤 과정을 통해 정상화를 이룰 것인지는 채권단의 실사가 끝난 후에 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시사포커스 / 전수영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