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교육청은 14일 오후 3시 서울 종로구 서울교육청사에서 자율형사립고(자사고) 폐지 등 관련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서울 25개 자사고 교장들과의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이날 자리에서는 자사고에 대한 조 교육감의 정책비전 소개와 자사고 재지정 평가 등 향후 추진방안을 밝히고 교장들이 질의하는 순서로 진행될 예정이다.
앞서 3월 당시 조 후보는 서울시의회 본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4년간 자사고가 당초의 취지와 달리 입시 위주의 교육과 고교서열화를 심화시켰다”며 “교육부 평가 지표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임기 시작 후 7월쯤 자사고에 대해 균등한 학생배정, 사교육 유발 여부, 사회통합의 기여도 등을 추가로 평가하겠다”고 밝히 바 있다.
조 후보는 이 평가 결과 기준에 미달하거나 비리를 저지른 자사고는 일반고로 전환하지만 자사고 평가 결과 기준을 충족하고 지정 목적에 부합하는 학교는 희망한다면 ‘사립형 혁신학교’로 전환하거나 자사고를 유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자사고 교장들은 조 교육감이 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을 요구할 경우 공동 대응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19일 서울 시내 25개 자사고 교장단은 서울 정동의 한 식당에서 비공식 모임을 갖고 조 교육감의 자사고 폐지 공약 등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했다.
그날 회의에 참석한 한 교장은 “교육청의 자사고 정책이 어떻게 변하는지 지켜보고 이에 공동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며 “대응에 필요한 기구 구성 등 구체적인 단계까지 나가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또 한 교장은 이날 “자사고 지정 취소 사유인 회계부정, 부정입학, 부당한 교육과정 운영(이중시간표 등) 등 5가지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데도 지정 취소할 경우 법적 대응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따라서 조 교육감의 취임 이후 처음으로 갖는 자사고 교장들과의 첫 간담회에서 ‘자사고 폐지’ 관련 핵심 사안을 중심으로 격론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해 재지정 평가를 받는 서울 소재 자사고는 25곳 가운데 14개교로 자사고 재지정 여부는 다음달 13일까지 결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