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정부 2기 내각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전날(10일) 마무리된 가운데 일부 후보자들의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이 난항을 겪고 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11일 오전 전체회의를 열어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과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보고서 채택을 논의할 예정이었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이 회의 출석을 거부했다.
두 후보자의 청문보고서 제출 시한은 오는 14일까지다. 그러나 야권이 이들에 대해 거부감을 보이고 있어 보고서 채택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전날(10일) 새정치연합 박영선 원내대표는 박근혜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이들에 대한 지명 철회를 요구해달라고 요청했으며 박 대통령은 이에 “잘 알겠다. 참고하겠다”고 답했다.

야당은 김명수, 정성근 후보자의 청문 보고서를 부적격 결론으로 채택하자고 주장하고 있지만 새누리당 소속 의원들은 부적격 결론을 전제로 회의를 여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일단 회의를 열고 적격·부적격 여부를 가리자고 맞서고 있다.
김명수 후보자의 경우 논문표절 의혹을 해명하지 못해 야당 뿐 아니라 여당 내에서도 반대 기류가 있으며 정성근 후보자는 전날 청문회에서의 위증이 문제가 되기도 했다.
두 후보자 외에 정종섭 안행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도 어려워보인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는 11일 오후 정 안행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을 위한 전체회의를 열었으나 야당 위원들이 불참, 여당 단독으로 회의가 진행됐고 결국 정 후보자 인사청문 보고서 채택의 건은 다루지 못했다.
새정치연합 소속 안행위원들은 “여야 모두 정종섭 후보자에 대한 ‘부적격’ 의견을 담지 않으면 청문보고서 채택을 할 수 없다”며 회의 거부를 선언한 바 있다. 야권은 “헌법학자로 원칙을 말해왔지만, 정종섭 후보자 자신은 반칙인생을 살아왔다”면서 “위장전입, 부동산투기, 논문자기표절, 군복무 특혜 등 특권층 전공필수 항목에서 무엇 하나 빠지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편, 이들의 거취와 관련, 박근혜 대통령은 주말을 거치면서 고심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들을 모두 임명할 경우 야당의 거센 반발에 직면할 공산이 크다. 게다가 최근 어렵게 마련된 ‘소통정치’ 분위기를 깰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그렇지만 이미 총리 후보자 2명이나 연쇄적으로 낙마한 상황에서 또다시 낙마 사태가 발생할 경우 발생할 후폭풍 역시 만만치 않기에 박 대통령의 고심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