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마른 장마 속에 경기 서해안과 섬지역의 가뭄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화도의 7월 강수량은 7.5mm, 백령도는 불과 3.2mm로 평년의 10%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장마 시작 뒤 단 한 차례 비가 내린 서울도 7월 강수량이 23mm에 머무는 등 중부 강수량은 평년의 36%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한강 상류 화천댐과 소양강댐의 저수율이 40% 안팎에 머물고 있고 특히 충주댐은 25%까지 낮아졌다.
마른 장마 원인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엘니뇨로 약해져 장마전선을 중부지방까지 밀어 올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재까지 비다운 비 소식도 없어 30도를 웃도는 더위에 수분 증발량이 많아지면서 농작물이 타들어 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마른 장마 원인에 네티즌들은 "마른 장마 원인, 농사 다 망치겠네" "마른 장마 원인, 딱 적정한 수준으로 비가 오면 좋은데" "마른 장마 원인, 농민들 걱정 크겠다" 등의 반응을 드러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