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교육청이 자율형사립고 14곳에 대한 재지정 평가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시내 자사고들이 이에 반발하고 나서면서 충돌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서울 25개 자사고 교장연합회 김용복 회장(배재고 교장)은 21일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일반계 고등학교는 이미 2000년대에 붕괴되었다”며 “이걸 전부 자사고로만 몰아붙이는 것은 이건 좀 과장된 표현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자사고 전체 정원은 7500명이고 서울 소재 일반고 1학년 학급수가 2200여개라는 점을 들어 1학급당 2~3명에 그쳐 자사고가 일반고 황폐화의 원인이라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하며 “과고, 외고, 특수고, 전문계고와 같이 한꺼번에 같이 분석해야 할 것이지 '자사고만의 문제다'하는 것은 과장된 표현이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고액 등록금으로 인한 ‘귀족 학교’ 논란에 대해 “1년에 약 한 300만 원 정도 등록금을 더 낸다. 한 달에 한 25만 원 가량 더 드는 건데, 고교 시절에 한 달에 25만 원 투자해서 대학 진학에 유리하다면 대한민국 어느 부모가 그 학교를 보내지 않겠냐”며 자사고는 ‘교육적 열망이 높은 학부모님가 자제분을 보내는 곳’이라며 논란을 일축했다.
김 회장은 또 조희연 교육감이 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에 14억원을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과 관련해 “1년에 (일반고와 등록금 차이가) 1인당 한 320만원 가량 되니까 정원이 400명이면 1개 학년에 필요한 돈이 12억이다. 첫 해에는 2개 학년이니 합쳐서 25억이고, 두 번째는 한 12~3억 정도가 되는데, 2년 동안 40억 가량을 지원을 해줘야 한다”며 “교육청에서 제시한 금액은 14억인데 이거 가지고는 저희들이 교육 활동을 할 수가 없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이어 “만약에 자사고를 지정 취소한다면, 우리 ‘자율형 사립학교 법인연합회’ 그 다음에 최대의 피해자로 생각되는 ‘학부모 연합회’ 그리고 우리 교장연합회 그리고 총동문회가 서로 연대하여 저지할 생각”이라며 법정 투쟁을 예고했다.
한편, 서울시교육청과 자사고가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진보 성향의 교육시민단체들이 ‘특권학교 폐지 일반학교 살리기 서울 공대위’를 발족하고 이날 오후 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조 교육감의 자사고 폐지 정책 지지를 표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