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각계 인사 62명은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세월호 특별법 제정의 사회적 합의를 위한 각계 원탁회의’를 열고 “하루라도 빨리 특별법 제정을 합의하기 위한 사회적 대화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또한 세월호 특별법에 의해 구성되는 특별위원회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부여하는 문제에 대해 “대한변호사협회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등 법률가 단체에서 이미 헌법상 체계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확인한 사항”이라며 “삼풍백화점과 성수대교 붕괴 등 반복된 참사를 막기 위해 전례 없는 조치를 해야 한다는 것이 국민의 요구”라고 주장했다.
이어 특별위원회 구성에 대해서는 “참사의 책임을 져야 할 정부와 여당이 특위 구성에서 과반의 추천권을 갖는 것은 가해자가 수사 주체가 된다는 의미로, 이는 세월호 참사를 망각하는 일”이라며 “유가족 피해자 단체에 반드시 위원 추천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도법 조계종 화쟁위원장, 박경조 전(前) 성공회 주교, 이윤배 흥사단 이사장, 김중배 전 MBC 사장, 최영도 전 국가인권위원장 등이 참석했고, 이호중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와 한상희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등은 이날 오후 국회 본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월호 특별위원회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부여하라는 내용이 담긴 법학 교수 230명의 선언문을 발표했다.
네티즌들은 “세월호 특별법 사회적 합의 촉구, 세월호 생각하면 가슴이 뭉클하네”, “세월호 특별법 사회적 합의 촉구, 특별법이 지정될까”, “세월호 특별법 사회적 합의 촉구, 그나저나 남은 실종자는 소식이 없네”, “세월호 특별법 사회적 합의 촉구, 멀리서나마 동참합니다”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