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내 음식점 가운데 21.5%가 위생등급 평가에서 ‘등급 외 판정’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강기윤 의원이 1일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내 음식점 1749개 업소에 대한 위생등급 평가를 실시한 결과 376개 업소(21.5%)가 ‘등급 외’ 판정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AAA등급을 받은 식당은 256곳(14.6%), AA는 520곳(29.7%), A는 597곳(34.1%)이었다.
서울시의 식당 위생 등급제는 조리실, 객실, 화장실, 종사자 위생 상태 등 44개의 세부항목을 평가해 90점 이상은 AAA(매우우수), 80점 이상은 AA(우수), 70점 이상은 A(양호)를 받으며, 70점 미만인 경우 ‘등급 외’ 판정을 받는다.
이 위생등급 평가는 자발적으로 신청한 식당에만 실시됐다. 그럼에도 ‘등급 외’ 판정을 받은 식당 중 21.5%가 낙제를 받아 미평가 식당들의 위생 상태는 더 좋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구별로 살펴보면, 은평구의 27개 평가업소 중 11개 업소(41%)가 ‘등급 외’ 판정을 받았고 ‘매우우수’ 평가를 받은 음식점은 없었다. 반면, 강남구의 경우 53개 업소 중 21곳(40%)이 ‘매우우수’ 등급을 받아 서울시내 31개 구 중 ‘AAA’ 음식점이 가장 많았다. 강서구 33%, 송파구 26%, 중구 22%, 광진구 2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서울시의 식당위생 등급제는 평가 등급을 매길 때 전부 A로만 표기해 혼란스럽다는 지적이다. 또한 평가 결과 부착이나 시정명령 등 사후 조치 의무규정이 없어 현행 식당위생 등급제가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평가다.
강 의원은 “음식점의 위생은 시민들의 건강에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라며 “A, B, C 등의 명확한 등급체계 및 판정등급을 시민들이 잘 볼 수 있게 공개적으로 부착하도록 하는 규정 마련 등 식당위생 등급제의 보완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