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론조사전문기관 <한국갤럽>이 1일 발표한 7월 다섯째 주(29일~31일) 주간집계에 따르면, 박근혜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은 1주 전과 동일한 40%를 기록했다. 2주째 취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국정수행 부정평가는 49%로 지난주보다 1%p 하락했지만, 여전히 고공행진 답보상태를 보였다.
다만, 갤럽은 “7.30재보궐선거에서 새누리당이 승리함에 따라 8월 국정 운영 기류에 적잖은 변화가 예상된다”고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 변화 동력은 남아 있음을 시사했다.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평가자(407명)들은 ‘열심히 한다/노력한다’(15%), ‘외교/국제 관계’(13%), ‘주관, 소신 있음/여론에 끌려가지 않음’(10%), ‘전반적으로 잘한다’(7%)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부정평가자(501명)들은 여전히 ‘인사 잘못함/검증되지 않은 인사 등용’(18%)를 가장 많이 지적했다. 이어서는 ‘세월호 수습 미흡’(16%), ‘소통 미흡’(12%), ‘리더십 부족’(7%), ‘국정운영이 원활하지 않다’(6%), ‘경제 정책’(6%) 등을 꼽았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새누리당이 42%를 기록하며 1주 전 대비 1%p 상승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26%로 7.30재보선과 무관하게 3주째 변화가 없었고, 정의당 5%, 통합진보당 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갤럽은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율과 관련해 “전체 유권자의 1/4을 차지하는 무당층은 여권보다는 야권 지지성향이 강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번 재보궐선거에서 그들의 마음을 얻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세월호특별법 제정에 가장 큰 난관이 되고 있는 ‘수사권 부여’ 여부와 관련해 국민 53%는 세월호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을 줘야 한다’는 의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당의 의견에 동의하는 것으로, 여당이 주장하고 있는 ‘수사권을 주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에는 24%만에 동의했다.
연령별로 2040 젊은세대는 물론이고, 보수 성향이 강한 50대에서도 ‘수사권 부여 찬성’ 의견이 49%로 ‘반대’ 의견 32%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만, 60세 이상에서만 ‘찬성’ 의견이 27%로 ‘반대’ 의견 34%보다 낮게 나타났다.
세월호 사고 원인과 책임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는 의견이 64%로 ‘밝혀졌다’는 의견 31%보다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 세월호 사고와 관련된 검경의 수사 결과 발표에 대해서는 무려 66%(별로+전혀)가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신뢰한다’는 응답은 28%(매우+어느 정도)에 불과했다.
마지막으로 지난 7월 18일 이후 세월호 실종자 수색에 별다른 진척이 없는 가운데, ‘실종자 모두를 찾을 때까지 수색을 계속해야 한다’는 의견은 31%였고, ‘이제는 선체를 인양해야 한다’는 의견은 65%로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조사 결과와 관련해 갤럽은 “다수 국민은 진상 규명을 원하며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을 부여하는 데도 찬성하는 입장”이라며 “그럼에도 선체 인양 의견이 더 많은 것은 실종자 수색을 중단하자는 의미가 아니라 기존 방식의 선체 내 수색만으로는 나머지 실종자를 찾는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라고 풀이했다.
갤럽은 “선체 인양 역시 단기간 내 가능한 일이 아닌 만큼, 진상규명과 함께 실종자 가족의 의견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신중하게 결정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주간집계는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1,016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RDD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응답률은 15%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