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이 나름의 ‘통큰 양보’로 새누리당에 세월호 특별법을 합의해준 것과 관련, 당내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빗발치고 있다.
세월호 가족대책위 및 시민사회단체 측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사실상 ‘백기투항’이라며 비난을 퍼붓고 있어, 박영선 비대위 체제가 출범과 동시에 심각한 위기에 휩싸인 분위기다.
정동영 상임고문은 이와 관련, 7일 자신의 트위터에 글을 올려 “세월호 특별법 합의는 잘못됐다”며 “세월호 유가족의 요구와 동떨어진 여야 합의는 국민 공감을 얻을 수 없다. 새정치연합은 의총을 열어 재론하는 것이 옳다”고 박영선 비대위에 직격탄을 날렸다.
8일 문재인 의원도 트위터에 “세월호 특별법은 정치가 유족들의 눈물을 닦아주는 최소한의 참회”라며 “어른들이 아이들의 억울한 희생이 더는 없도록 진실을 규명하는 최소한의 노력이다. 따라서 여야 합의보다 더 중요한 건 유족들 동의”라고 유족들의 뜻과 다른 여야 합의에 대해 비판했다.
문 의원은 그러면서 “특별법을 마련하게 된 힘도 사실 유족들 덕분”이라며 “그분들이 동의하지 못한다면 여야가 다시 머리를 맞대는 게 도리다. 정치가 그분들에게 더 상처를 드리면 안 되겠다”고 특별법 합의 파기를 주장했다.
박지원 의원은 “세월호 가족들과 박영선 대표 간 대화가 있었고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도 소통을 하고 있다. 월요일 의총이 소집되었으니 방법을 모색할 것”이라며 “내 자식이 바닷 속에, 윤일병이라면 어떻게 하겠나? 부모 된 마음으로 돌아가자”고 에둘러 잘못된 합의라는 점을 지적했다.
박 의원은 또, “함세웅 신부님 등 많은 분들로부터 세월호법 합의에 대한 힐난을 듣고 목포로 간다”며 “서로 소통하여 지혜를 모으겠다”고 곤혹스러워진 입장을 전하기도 했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비판적 목소리를 냈다. 박 시장은 8일 오전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여야가 어떤 당파적 이해가 아니고, 정말 한 점 의문도 없이 명명백백히 조사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런 측면에서는 지금 유족들이 그에 대해 반발하고 있지 않은가. 그래서 저는 유족들의 의견도 충분히 존중되고, 왜 이런 걸 온 국민의 합의에 의해 처리가 안 되는지 조금 이해가 안 간다”고 비판했다.
특히, 특별검사 추천권을 상설 특검법에 따르기로 한데 대해서도 박 시장은 “지금 유족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조금만 더 독립적인 절차가 강구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유족들은 믿지 못하고 있지 않냐”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