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스코 교황, 시복미사 中 순교자 124위 전체 초상화 공개
프란치스코 교황, 시복미사 中 순교자 124위 전체 초상화 공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영주(이멜다) 화백의 ‘새벽 빛을 여는 사람들’ 작품
▲ 프란치스코 교황이 집전한 시복식에서 윤지충 바오로를 포함한 123위 순교자들의 모습이 담긴 전체 초상화가 공개됐다. ⓒ교황방한위원회

프란치스코 교황이 집전한 시복식에서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의 전체 초상화가 공개됐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16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순교자’를 위해 시복 미사를 집전했다. 교황이 순교자의 땅을 찾아, 순교자를 복자로 선포하는 시복미사를 직접 거행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이날 시복식에는 세월호 유가족 400여명, 이주노동자, 새터민을 포함해 가톨릭 신자 등 17만여 명이 참여했다.

미사 중 공개된 순교복자 124위 전체 초상화는 김영주(이멜다) 화백의 작품으로 순교자들의 피로 신앙을 일으켜 세우는 순교 당시의 바람처럼 ‘새벽 빛을 여는 사람들’이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다.

초상화 속 복자들은 하느님 영광의 빛이 가득한 가운데, 승리를 상징하는 빨마가지를 흔들거나 순교의 상징인 십자가를 들고 있다. 또한 동정의 상징으로 백합꽃을 들고 있기도 했다.

특히 유일한 성직자인 복자 주문모 신부는 빨간 영대를 두르고 있다. 또한 이봉금(아나스타시아)은 12세에 순교해 가장 어린 복자로 꽃다발을 든 채 가장 앞에 자리 잡았다.

교황방한위원회는 “그림에서 모든 복자들은 죽음에서 생명으로 건너간 하느님 나라에는 기뻐하는 모습을 잘 보여 주고 있다”고 밝혔다.

김 화백은 복자들의 천상 영광을 표현하기 위해 선구자로서의 이미지, 천상 복락의 이미지를 요한 묵시록의 5가지 이미지를 활용, 형상화했다고 밝혔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모든 민족과 종족과 백성과 언어권에서 나온 그들은, 희고 긴 겉옷을 입고 손에는 야자나무 가지를 들고서 어좌 앞에 또 어린양 앞에 서있다(7,9) ▲저 사람들은 큰 환란을 겪어낸 사람들이다. 저들은 어린양의 피로 자기들의 긴 겉옷을 깨끗이 빨아 희게 하였다(7,14) ▲그들은 하느님의 어좌 앞에 있고 그분의 성전에서 밤낮으로 그분을 섬기고 있다(7,15) ▲ 그 도성은 해도 달도 비출 필요가 없습니다. 하느님의 영광이 그곳에 빛이 돼 주시고 어린양이 그곳의 등불이 되어 주시기 때문입니다(21,23) ▲자기들의 긴 겉옷을 깨끗이 빠는 이는 행복하다. 그들은 생명나무의 열매를 먹는 권한을 받고 성문을 지나 그 도성으로 들어가게 될 것이다

아울러 김 화백은 “주님! 124위 순교 복자들이 하느님의 도성으로 들어가, 주님의 빛 안에서 영원한 행복을 누림을 믿사오니, 그들의 후손인 저희도 그분들의 신앙을 본받아 영원한 생명의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은총을 베풀어주소서!”라고 기도하면서 그림을 그렸다고 전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