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 맥주, 소독약 냄새 원인은 ‘산화취’
‘카스’ 맥주, 소독약 냄새 원인은 ‘산화취’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비맥주 “소독약 냄새, 죄송합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비맥주 카스(Cass) 소독약 냄새 발생과 관련 다각적인 원인조사를 한 결과 이번 악취는 ‘산화취’가 원인이라고 26일 밝혔다. ⓒ카스 홈페이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비맥주 카스(Cass)의 소독약 냄새와 관련해 그동안 전문가 자문회의, 오비공장 3개 공장 및 유통 현장조사, 정밀검사 등 다각적인 원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번 악취는 ‘산화취’가 원인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26일 밝혔다.

산화취는 맥주 유통 중 고온에 노출될 경우 맥주 원료인 맥아의 지방성분과 맥주 속의 용존산소가 산화반응을 일으켜 산화취는 원인 물질인 ‘trans-2-noneal(T2N)’이 민감한 사람이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증가해 냄새가 나는 현상이다.

하지만 산화취 성분은 인체에는 유해하지 않은 것으로 현행 식품첨가물공전에 합성착향료로 등재돼 있다.

앞서 식약처는 오비맥주 소독약 냄새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소비자 신고제품 23건과 시중 유통제품 37건 등 총 60건을 수거해, 산화취 및 일광취 원인물질에 대한 정밀검사를 실시했다.

검사 결과, 시중 유통제품 대부분은 산화취를 발생시키는 원인물질인 T2N 함량이 100ppt 이하로 검출됐으나, 소비자 신고제품은 민감한 사람이 냄새를 느낄 수 있는 수준인 100ppt보다 높은 평균 134ppt가 검출돼 산화취가 이번 소독약 냄새 발생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확인했다.

일광취는 소비자 신고제품 21건과 시중 유통제품 16건을 검사한 결과, 원인물질인 ‘3-메틸-2-부텐-1-티올(MBT)’이 대부분 발견되지 않았고, 일부 극히 미미한 수준이 검출돼 이번 소독약 냄새 발생의 주요 원인이 아닌 것으로 확인했다.

아울러 소독약 냄새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오비맥주 3개 공장 현장조사를 실시했으나 제조용수, 자동세척공정 등 소독약 냄새의 원인을 조사한 결과, 세척 후 잔류염소농도 관리 등이 기준대로 이행되고 있어 소독약 냄새는 아닌 것으로 판단했다.

식약처는 이번 조사 결과 산화취는 특히 맥주를 고온에 노출시킬 경우 발생되므로 물류센터, 주류도매점, 수매점 및 음식점 등에서 맥주를 더운 날씨에 야적 등 고온에 노출시키는 일이 없도록 오비맥주와 주류 도매점 및 음식업 관련 협회 등에 요청했다.

한편, 이날 오비맥주는 식약처가 소독약 냄새 원인을 산화취로 결론 내린 것과 관련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유통구조 전반을 포함해 품질관리를 강화하고 개선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오비맥주 측은 “산화취가 유해하지 않다고 하지만 소비자에게 가장 신선한 제품을 전달해야 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며 “신뢰 회복 차원에서 제품 제조와 유통 전반에 품질관리를 강화하고 개선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시사포커스 / 전수영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