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움직임에 한국사 학자들이 역사 교육과 연구는 물론 한국 사회의 건강한 발전에 많은 부작용을 낳게 될 것이라며 중단을 요구했다.
한국사연구회, 한국역사연구회, 한국고대사학회, 한국중세사학회, 조선시대사학회, 한국근현대사학회, 한국민족운동사학회는 28일 서울 중구 대우재단 빌딩에서 공동 성명을 내고 기자 회견도 열었다.
7개 학회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제는 1974년 유신 정권에 의해 해방 이후 처음 도입, 시행되다가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는 물론 일반 국민의 비판과 반대에 부딪쳐 2007년 개정 교육 과정에 의해 완전히 폐지됐다”며 “그런데 교육부는 검정제를 전면 도입한 지 겨우 7년 만에 국정제로 되돌아가려 하고 있다”며 강력 비판했다.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와 관련해 황우여 교육부 장관에 대해 “여당 대표 시절에 6·25전쟁에 대해 북침론과 남침론을 서술한 교과서가 병존한다는 근거 없는 사례”라며 “앞서 진행했던 청문회와 토론회 등에서 국정제로 전환하겠다는 발언에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은 “정권마다 다르게 상정할 수 있는 ‘국론’에 입각해 국정 교과서를 만들겠다는 것은 시대착오적 발상에 불과하다”며 “오히려 ‘국론 분열의 씨앗’을 뿌리는 일이 될 것이다”라고 한 목소리를 냈다.
7개 학회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제가 도입되면 “역사 교육이 획일화돼 민주 사회의 발전과 폭넓고 다양한 사고의 형성과 창의적인 사고 능력을 키우기 어렵고 질 높은 교과서가 나올 것이라 기대할 수 없다”고 했다
또한 “이것으로 인해 역사 연구와 교육의 발전에 지장을 주며 정치·사회적 대립과 갈등은 증폭되고 역사 교육은 혼란에 빠질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면서 “국정화는 사상 통제가 극심한 일부 국가에서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시행되면 대한민국의 국가적 위신은 추락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아울러 이들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 중단 ▲역사 교육에 대한 과도한 통제 시도 중단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에서 추천한 인사들로 한국사 교과서 검정제 개선위원회를 구성해 현행 검정제의 문제점을 고쳐나갈 것 ▲외부의 부당한 압력 차단을 요구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