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부동산 부자들, 주택은 얼마나 가지고 있나?
대한민국 부동산 부자들, 주택은 얼마나 가지고 있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위 10명 소유 주택, 평균 255채…2008년 62채 늘어나

대한민국의 부동산 부자들. 이들은 어느정도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을까.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전순옥 의원이 3일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종부세 상위1%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보유주택 상위 10명의 주택은 평균 255채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193채에서 평균 62채 정도 더 구매한 것이다.

아파트 한 층에 8채를 가정했을 경우 주택 255채는 15층 아파트 두 동보다 많은 수치다.

보유주택 상위 100명으로 범위를 넓혔을 경우 이들의 보유주택은 84채에서 101채로 17채 정도 더 늘었으며 1000명으로 범위를 확대해보면 2008년 39채에서 2013년 48채로 9채 정도 늘었다.

최근 5년간의 종부세 현황을 살펴보면, 2013년 종부세(잠정치)는 1조3074억원으로 2007년에 비해 53%(1조4597억원)으로 감소했다. 또한 같은 기간 종부세 납부대상은 48만명에서 25만명으로 절반 가량 줄었다.

1인당 종부세는 531만원이며 납부대상자의 0.4%인 상위 1000명이 64%인 8418억원을 납부했다.

전 의원은 “종부세는 2008년 11월, 헌법재판소가 세대별 합산 부과 조항에 위헌 판결을 내린 이후, 납부 대상과 세액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2013년 종부세 상위1%(2462명)는 평균 3억8867억원, 상위10명은 평균 168억원씩 종부세를 납부했다.

상위10명의 종부세를 과세대상 부동산으로 구분하면, 주택이 12%(19억원), 종합합산토지가 51%(85억원), 별도합산토지가 38%(64억원)였다.

종부세를 납세 주체별로 구분했을 경우 개인납세자가 3453억원, 법인납세자가 9621억원(2013년 기준)이었다.

개인납세자는 2007년 46만8천명에서 2013년 23만3천명으로 50% 감소했고, 종부세는 1조5731억원에서 3453억원으로 78%나 줄어들었다.

개인납세자와 법인의 상위10명을 살펴보면, 개인은 2013년 평균 7억7천만원을 납부했고, 법인은 137억9340억원을 납부했다. 2008년과 비교하면, 상위10명의 개인은 평균 3억6천만원, 상위10명의 법인은 평균 83억원씩 종부세가 줄어들었다.

전순옥 의원은 “종부세 부과 대상 및 세액이 반토막났다”며 “부동산부자 상위10명은 매년 1인당 80억 원, 전체적으로 1조5천원억에 달하는 감세 선물”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이어 “어떻게 소형주택, 임대주택 의무비율 완화가 서민주거안정 강화 방안이냐”며 정부의 9.1 부동산대책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전 의원은 또 “자기 집에서 살고 있지 않는 국민들이 절반쯤 되는데, 소수의 집부자들은 주택을 수백 채씩 보유하고 있다”며 “소득보다 더 쏠림이 심한 부동산을 비롯한 자산양극화 해소에도 관심을 갖고 적극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