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송광호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3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되자, 새누리당을 향한 방탄국회 비난이 빗발치고 있다. 하지만, 체포동의안이 부결된 데는 야당의 역할도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실제로, 본회의 표결 내용을 꼼꼼히 살펴보면 새누리당만을 비난할 상황은 아니다. 이날 본회의 참석한 새누리당 의원은 136명, 새정치민주연합 114명, 비교섭단체 6명 등 총 256명이었다. 그리고 이들 중 투표에 참여한 인원은 223명이었고, 이 중 찬성은 73표, 반대가 118표, 기권 8표, 무효 24표로 나왔다.
기권과 무효표까지 합친다면 투표에 참여한 223명 중 150명이 ‘송광호 체포동의안’에 사실상 반대한 것이다. 이는, 표결에 참여한 새누리당 의원 136명이 모두 반대표를 던졌다 하더라도 야권에서 또한 아무리 작게 잡아도 14표는 반대표가 나왔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에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33명 의원들 중에도 야당 의원이 있었을 수 있다. 사실상 여당 뿐 아니라 야당 의원들 상당수도 ‘송광호 구하기’에 동참했다는 뜻이고, 새누리당만 나홀로 방탄국회를 만든 것이 아니었다는 얘기가 되는 것이다.
게다가, 이날 본회의에 앞서 새정치민주연합은 체포동의안 가결을 당론으로 정하지도 않았었다. 의원 개개인의 자유 투표에 맡겼던 것이 ‘화’를 부른 셈이다.
하지만, 상황이 이러한데도 새정치민주연합 측에서는 새누리당만을 향해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본회의 직후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은 “두 얼굴을 가진 정당”이라고 비난을 퍼부었고, 문재인 의원 역시 “겉으로는 패권 철폐를 얘기하면서 돌아서서는 방탄하는 꼴이 됐다”고 힐난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김현숙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투표수를 볼 때 야당에서도 상당수 참여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의안과에서 확인한 결과 오늘 참석한 분이 새누리 136명, 새정치연합 114명, 비교섭단체 6명으로 전부 256명”이라며 “256명 중 찬성이 73표이고, 부결-기권-무효가 합쳐서 150표다. 새누리당과 야당에서도 표가 나왔다고 보시면 된다”고 여야 공동책임론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