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병언 시신 발견·별장 밀실 제보자, 보상금 못 받아
유병언 시신 발견·별장 밀실 제보자, 보상금 못 받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병언일 수도 있다’는 추정에 의한 신고에 가까워
▲ 범인검거공로자 보상심의위원회는 유병언 시신을 발견한 매실밭 주인과 벽장 밀실 제보자는‘범죄신고자등 보호 및 보상에 관한 규칙에 따라 보상급을 지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시사포커스 이철행 기자

유병언 시신을 처음 발견한 매실밭 주인과 별장 내부 존재 가능성을 제기한 신고자에게 보상금이 지급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됐다.

4일 전남지방경찰청은 ‘범죄신고자등 보호 및 보상에 관한 규칙’에 따라 범인검거공로자 보상심의위원회를 열어 유병언 사건과 관련해 신고자 및 제보자에게 보상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최종 결정했다.

위원회에서는 신고자가 신고 당시 변사체가 유병언인지 알고 신고한 것인지, 범인의 소재를 신고해 검거에 기여한 공로가 있는지, 범인검거에 적극 협조해 현저한 공이 있는지 등 ‘범인검거공로자’에 해당되는지에 대해 중점적인 심의를 진행했다.

경찰은 보상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에 대해 “‘범인검거공로자’ 규정에는 범인이 검거되기 전에 경찰공무원에게 범인 또는 범인의 소재를 신고해 검거하게 하거나 범인을 검거해 경찰공무원에게 인도한 자 및 범인검거에 적극 협조한 자로 돼있다”며 “2명 모두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매실밭 주인인 경우에는 자신의 밭에 사람이 죽어 있다며 단지 변사체를 발견해 신고 했다”며 “변사체가 유병언일 수도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었던 것으로 112신고 녹취록을 통해 확인됐다”고 말했다.

또한 “별장 내부 존재 가능성을 제기한 신고자는 신고내용 속의 비밀공간 존재 여부 등 내용이 사실과 일치했지만, 별장을 가본 적도 없고 별장 내부의 어느 곳에 비밀공간이 있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다른 방이나 벽을 잘 살펴봐라. 벽을 두드려보면 소리가 다르니까 찾을 수 있다’는 추정에 의한 신고로 볼수 있어 범인검거 공로자로 보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안병갑 보상심의위원회의 위원장은 “범인검거공로자의 요건에 부합되지 않아 신고보상금을 지급하지 않는 결정을 내리게 됐다”며 “검거에 동원된 인력과 자원을 아끼게 한 공로가 인정되므로 전남지방경찰청장의 감사장 등을 수여하는 방안을 추진중에 있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 30일 유병언의 영결식에서는 신도 1만여 명이 참석했으며, 유병언의 시신은 금수원 내에 마련된 묘지에 안장됐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