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사회의 시급한 문제인 노동시장과 공공부문 발전, 산업안전에 대해 노사정이 지혜를 모은다.
4일 노사정위원회는 지난달 29일부터 9월 1일까지 상무위원회 서면심의를 거쳐 노동시장 구조개선 특별위원회, 공공부문 발전위원회, 산업안전 혁신위원회 3개 의제별·업종별위원회의 구성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3개 위원회는 노동시장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여 우리경제사회의 활력을 제고하기 위한 노사정 대타협을 논의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이번 노동시장 구조개선 특별위원회는 김대환 노사정위원회 위원장이 특별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고 노동계에서는 이병균 한국노총 사무총장, 김만재 전국금속노련위원장이 위원을 맡았다. 경영계에서는 각 기관의부 대표급이 참여하고 공익위원으로 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 등이 위원으로 선정됐다.
또한 공공부문 발전위원회도 최근 노사관계 현안으로 공공 부문의 중요성을 고려해 송위섭 아주대 명예교수를 위원장으로 하고, 노동계는 김주영 전국공공산업노련 위원장 등과 정부부처는 기재부 재정업무관리관 등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노사정위 관계자는 “이번 위원회 구성은 고용 없는 성장, 노동시장 양극화, 고령화 등 지금이 우리 경제사회가 직면한 위기 극복의 골든타임이라는 데 노사정이 인식을 함께하고 대타협의 필요성에 대한 노사정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번 구성된 3개의 의제별·업종별 위원회는 15일 산업안전 혁신위원회를 시작으로 17일 공공부문 발전위원회, 19일 노동시장 구조개선특별위원회 등 각 위원회별로 본격적인 논의를 할 예정이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