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들의 ‘누적 적립금’이 12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희가 대학알리미에 공시한 전국 4년제 대학과 전문대, 대학원대학교의 2013 회계연도 교비회계와 법인회계를 분석한 결과 누적 적립금 총액은 11조8171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 적립금이란 대학이 쓰지 않고 쌓아 둔 돈을 뜻한다.
특히 4년제 사립대는 9조2559억 원, 전문대 2조5117억 원, 대학원대 495억 원으로 막대했다.
이화여대의 누적 적립금은 8207억 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뒤를 이어 연세대 6651억 원, 홍익대 6641억 원, 수원대 3367억 원 순이다.
고려대, 청주대, 동덕여대, 성균관대, 계명대, 덕성여대, 숙명여대 등도 2000억 원이 넘는 적립금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교육부의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에 지정된 청주대와 덕성여대가 적립금 규모 상위권에 올라와있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1차평가에서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지정됐다가 정원감축 조건으로 벗어난 대학들도 상당한 누적 적립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주대, 서남대, 차의 과학대 등 15개 4년제 사립대학은 적립금이 전혀 없었다.
적립금의 경우 한도액이 정해져 있지 않아 무분별하게 적립금을 쌓이는 관행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학교육연구소 관계자는 “과도한 적립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립금의 목적만 지정할 게 아니라 적립금 한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며 “이런 대책으로는 대학들의 등록금 장사 관행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사포커스 / 이지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