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모·영유아 유해환경 노출시 성장발달, 인지능력↓
산모·영유아 유해환경 노출시 성장발달, 인지능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체중 감소, 천식, 알레르기비염 등 유발
▲ 산모나 영유아가 유해환경에 성장발달과 인지능력을 비롯해 노출되면 환경성 질환도 유발한다. ⓒ뉴시스

아이를 임신했을 때나 어렸을 때 유해환경에 노출되면 성장발달과 인지능력 모두 떨어진다.

10일 환경부가 이화여대 하은희 교수(예방의학)팀에 의뢰해 조사한 ‘산모 영유아의 환경유해인자 노출 및 건강영향연구’ 보고서 결과를 발표했다.

본 보고서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1751명의 산모에서 출생한 영유아 중 생후 6·12·24·36개월된 733명의 아이를 추적 관찰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세먼지(PM10)의 경우 임신 중 산모의 평균 노출농도가 공기 1㎥당 10㎍ 증가했을 때 체중이 약 0.16㎏ 줄었다. 또 출생 후 영유아 6개월부터 36개월까지는 체중은 약 0.11㎏, 신장은 약 0.28㎝ 감소했다.

이산화질소(NO2)는 임신 중 노출이 10단위(10ppb) 증가했을 경우에는 체중은 약 0.05㎏ 감소했고 출생 후 6개월부터 36개월도 체중이 줄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임신 초기 혈 중 납 농도가 증가할수록 영유아의 체중에 영향을 끼쳤다. 대기환경오염물질과 중금속 등 유해환경인자는 영유아의 신경인지발달 저하에도 영향을 미쳤다.

임신 기간 중 PM10과 NO2의 노출의 10단위 증가는 6개월 동작점수를 각각 약 6.1점 약 3.4점 감소했다.

PM10의 출생 후 6개월까지의 평균 노출농도가 10단위 증가 시 인지점수는 약 2.5점, 동작점수가 약 4.2점, 12개월에 측정된 인지점수는 약 3.3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NO2는 출생 후 6개월까지의 평균 노출농도가 10단위 증가 시 인지점수 약 1.7점, 동작점수는 약 3.4점 줄었다.
또한 유해환경은 환경성 질환도 유발했다. 임신기간 PM10농도가 1㎍/㎥ 증가할 때, 생후 6개월 시기의 천식 위험은 11.5%씩 증가했다.

수은 노출에 따른 영유아 알레르기 질환 발현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임신말기 수은 농도가 고노출군에서 저노출군에 비해 영아 36개월 아토피 피부염 병원 방문 발생이 1.80(95% 신뢰구간 1.06-3.06)배, 알레르기 비염 발생은 1.59배 증가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