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포커스 홍금표 기자] 지난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 사태를 계기로 우리나라의 금융현실에서 금융지주 체제가 적절한지에 대한 논란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은행이 그룹 전체의 자산 및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지주회사 체제는 의미가 없다는 주장이 무용론의 근거다. 오히려 지주회사 회장과 은행장이 갈등을 빚는 원인이라는 지적도 KB금융 사태를 계기로 힘을 얻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시사포커스 홍금표 기자] 지난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 사태를 계기로 우리나라의 금융현실에서 금융지주 체제가 적절한지에 대한 논란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은행이 그룹 전체의 자산 및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지주회사 체제는 의미가 없다는 주장이 무용론의 근거다. 오히려 지주회사 회장과 은행장이 갈등을 빚는 원인이라는 지적도 KB금융 사태를 계기로 힘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