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인사들 선거 위해 지방으로
5.31 지방선거에 뛰어드는 청와대 출신 인사들이 늘고 있다.
3일 현재까지 공식.비공식적으로 출마 의사를 내비친 청와대 출신 인사는 비서관급 2명, 행정관급 10명 등 총 12명이다. 이들 대부분은 기초단체장 선거에 도전하고 있다. 지난달초 염태영 전 지속가능발전위 비서관과 최광웅 전 인사제도비서관이 각각 수원시장과 도봉구청장 출마를 위해 사퇴했으며, 현재 막바지 출마 준비에 한창 이다.
또한 이때를 전후해 신용훈(서울 강북구청장), 정경환(서울 영등포구청장), 서양호(서울 동대문구청장), 전재수(부산 북구청장), 윤경태(부산 해운대구청장), 허태정(대전 유성구청장), 김삼호(전남 곡성군 도의원) 전 행정관 등 7명의 행정관이 지방선거에 나선다.
지난달 말께 박영순 시민사회수석실 행정관(대전 대덕구청장), 김은호 사회정책수석실 행정관(부산 동래구청장), 정현태 평화를 위한 바른역사정립기획단 행정관(경남 남해군수) 등 3명이 사퇴,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이같이 자신의 이름을 걸고 직접 선거에 나선 이들도 있는 반면, 선거캠프 합류로 정치활동을 재개한 청와대 출신 인사들도 있다. 이들은 광역단체장 선거 캠프에 몸을 담고 있다.
지난 2002년 한이헌 부산시장 선거캠프에 있었던 황이수 전 행사기획비서관이 이번에는 열린우리당 충남지사 후보로 결정된 오영교 전 행자부장관과 손을 잡았다.
김성환 기획조정비서관실 행정관도 서울시장 후보로 나설 강금실 선거캠프에 합류하기 위해 최근 청와대를 떠났다. 서울시의회 의원 출신인 김 행정관은 참여정부 출범후 청와대 정책실에서 줄곧 근무, '정책통'으로 꼽힌다.
이를 놓고 일각에서는 열린우리당의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청와대가 지원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지방선거를 이유로 사퇴한 청와대 인사들이 대부분 행정관급으로, 소위 말하는 '경량급'인 데다 한결같이 "자발적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얘기하고 있어 '청와대 지원설'은 큰 힘을 얻지 못하고 있다.
한편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을 지낸 이강철 대통령 정무특보가 열린우리당 대구.경북 선대본부장을 맡을 지도 관심을 끌고 있다. 3일 현재 이 특보는 현재 중앙당은 물론, 대구.경북지역 지방선거 출마자들로부터 '선대본부장을 맡아달라'는 요청을 지속적으로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이 특보가 대구.경북지역 선대본부장을 맡는 것은 법적으로 하자는 없다"며 "하지만 한나라당을 중심으로 '대통령 지원설' 등 정쟁의 시비가 될 소지가 있어 현재 고민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