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 한반도 배치 반대
시민단체,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 한반도 배치 반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방부 “한국과 사드 배치 협의한 적 없다”
▲ 미국 정부의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를 두고 시민단체들은 이를 수용하지 말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 ⓒ뉴시스

고(高)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를 두고 시민사회 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2일 참여연대 등 시민사회단체 50여곳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주한 미국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미국 정부는 동북아 평화를 해치는 사드 배치 즉각 철회하고, 박근혜 정부는 주한미군의 요구를 결코 수용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사드를 배치하면 중국과 러시아, 북한 등의 강력한 반발과 연쇄적인 군비증강을 불러온다”며 “안보 효용성을 갖기는커녕 평화를 파괴하는 요인이 될 것이 분명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북한 탄도미사일의 주종인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사드의 요격 대상이 아니므로 한반도 안보에 기여하지 않는다”며 “오히려 한반도에 사드를 배치하면 우리나라는 미국 MD체계의 전초기지가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들은 “사드 배치는 중국 등 주변국과의 갈등도 심화시켜 우리나라의 안보와 경제에 큰 부담을 준다”며 “결국 동북아 평화를 파괴하고 미국의 군사적 패권만 유지하는 결과를 불러온다”고 우려했다.

앞서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로버트 워크 미국 국방부 부장관은 미 외교협회(CFR) 간담회에서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의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사드를 한국에 배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한국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국방부는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와 관련해 미 국방부와의 협의는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