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건물 85%에서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이 검출돼 논란이다.
6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안민석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학교건축물 석면관리 현황’에 따르면 전국 2만444개 유치원과 초중고교 중 86.4%인 1만7658개교가 석면이 포함된 재료로 지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2012년 ‘석면안전관리법’에 따라 지난해부터 육안검사 대신 전문기관에 의뢰해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석면 정밀조사를 실시해오고 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가 2406개교 중 92.1%인 2217개교에서 석면이 발견돼 가장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 뒤를 고등학교 92.0%, 중학교 90.9%, 유치원 74.3% 이 이었다.
석면 위해성 평가는 높음, 중간, 낮음의 3단계로 분류되고. 전체 6328개교 중 95.7%인 6059개가 속해있는 ‘낮음’ 단계에 해당이 됐다. 이는 잠재적 석면 위험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단계다.
‘중간’ 단계는 손상된 석면을 보수·제거하거나 필요시 출입 금지 조치까지 취해야 하는 것으로 269개교(4.3%)가 해당이 됐다.
시·도별에서는 대전, 울산, 세종지역의 49개 조사 대상학교에서 모두 석면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안 의원은 “우리 학생들이 유치원에서 고등학생 졸업 때까지 석면에 노출돼 있다”며 “아이들이 안심하고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안전한 교육환경을 위해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시급한 대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