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화재’ 발생은 감소, 피해는 증가
‘전기화재’ 발생은 감소, 피해는 증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구대비 충남, 영남, 호남에 화재 집중
▲ ‘지역별 전기화재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전기화재는 5% 감소했지만 재산피해는 27%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뉴시스

전기화재가 발생은 감소하고 있지만 재산피해는 급증하여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15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박완주 의원(천안을)이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 제출한 ‘지역별 전기화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전기화재는 5% 감소한 반면 재산피해는 27% 증가했다.

연도별로는 2012년에는 9225건 발생에 398명(사망 49명)의 사상자와 698억원의 재산피해를 냈으며 2013년에는 전국에서 8889건의 전기화재가 발생해 48명이 숨지는 등 328명의 사상자와 737억원의 재산피해를 냈다.

이어 지역별로는 지난해 경기도에서 2179건의 전기화재로 92명(사망 13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재산피해는 289억원 39%에 달해 큰 규모의 화재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충남의 전기화재는 지난해 520건으로 6%에 달했는데 전국인구(4%)대비 발생빈도가 높았으며 재산피해도 63억원(9%)으로 경기도의 뒤를 이었다. 경남도 지난해 683건이 발생해 13명의 사상자와 54억원의 재산피해를, 경북은 625건에 18명의 사상자와 52억원의 재산피해로 상대적으로 재산피해규모가 컸다.

서울(1462건), 부산(467건)과 대구(321건), 광주(256건), 대전(248건) 등은 인구대비 전기화재 재산피해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반면 인천(466건)과 울산(165건) 등 산업체 밀집지역은 오히려 전기화재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감전사고의 경우 여전히 줄어들지 않고 있는 가운데 사망사고는 감소추세를 보였다.

연도별로는 2009년 46명, 2010년 46명, 2011년은 49명, 2012년에는 32명, 2013년에는 36명이 감전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또한 수도권보다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은 충남 36건(6.0%), 전남 45건(7.4%), 경남 40건(6.6%)등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여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박완주 의원은 “전기화재에 재산피해가 늘어나는 것은 사고의 규모가 커진다는 것으로 대형화재에 따른 참사마저 우려된다”며 “정부는 전기화재와 감전으로 인한 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