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3.5% “카톡, 검찰 감청영장요구 불응 찬성”
국민 43.5% “카톡, 검찰 감청영장요구 불응 찬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0% “수사 방해하는 공무집행 방해이므로 반대”, “잘모름” 26.5%
▲ 국민 10명중 4명이 다음 카카오톡의 감청영장 불응 입장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뉴시스

다음 카카오톡 이석우 대표가 검찰의 감청영장에 불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국민 10명 중 4명이 불응 결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14일 MBN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티에 다음 카카오톡의 감청불응 입장에 대한 의견 조사를 의뢰한 결과, ‘개인정보 보호가 중요하므로 찬성한다’는 의견이 43.5%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

이어 ‘수사를 방해하는 공무집행 방해이므로 반대한다’는 의견이 30.0%, ‘잘모름’은 26.5%로 집계됐다.

정당지지층별로 살펴보면, 여야 지지층에 따라 의견이 나뉘며 이 중 무당층에서는 다음 카카오톡의 감청영장 불응 결정에 찬성하는 의견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새누리당 지지층에서는 ‘반대한다(43.9%)’는 의견이 ‘찬성한다(30.3%)’보다 높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은 ‘찬성한다(60.7%)’가 ‘반대한다(19.8%)’보다 높았다.

전체 국민의 23.6%를 차지하는 무당층에서는 찬성의견은 47.4%, 반대의견은 20.8%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나이가 많을수록 다음 카카오톡의 감청영장 불응 결정에 ‘반대한다’는 의견이 높았고, 40대를 중심으로 저연령대와 고연령대의 의견이 서로 달랐다.

직업별로는 노동직을 제외한 모든 직업군에서 다음 카카오톡의 감청영장 불응 결정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14일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5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와 유선전화 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조사가 이뤄졌으며 성, 연령, 지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가중치 부여를 통해 통계보정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

이와 관련해 15일, 검찰은 카카오톡 등에 대한 사이버 사찰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사이버 검열 또는 사이버 사찰을 전혀 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또 대검찰청 관계자는 "카카오톡 등 사적인 대화가 이뤄지는 공간은 처음부터 지금까지 모니터링 대상이 아니었다"며 "실시간 감시는 검찰에 법률적인 권한도 없고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도 않다"고 강조했다.

한편, 14일 이석우 대표는 “7일부터 감청영장 집행에 응하지 않고 있으며 향후에도 응하지 않을 계획”이라며 “이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게 최우선”이라는 의사를 밝힌바 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