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발생 시 위기대응 능력 부족

크고 작은 사고가 일어나는 광주 지하철에 사고 시 위기대처능력도 검증되지 않은 역장이 운행을 하고 있어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16일 새정치민주연합 주승용 의원(안전행정위원회, 전남 여수을)은 국회 입법조사처에 의뢰해 조사․분석한 결과 광주지하철 민간위탁역장이 퇴직 공무원의 낙하산 인사로 채워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광주지하철은 전체 19개 역중에서 17개 역을 12명의 민간위탁역장에게 운영을 맡기고 있다. 12명의 민간위탁역장 중에서 광주도시철도공사의 근무경력이 있는 사람은 2명이며, 나머지는 6명은 광주시청 공무원 출신이고 4명은 보험회사 등 민간기업 출신이다.
광주시에서는 지하철 운영에 앞서 타당성검토를 통해 저비용으로 운영하는 민간위탁역장제도를 도입했다.
또한 ▲위탁역 역장의 노령화로 인한 안전 대응 ▲돌발사고 발생 시 초기 비상대응 인력부족 ▲ 도급(용역)계약에 따른 현장 직접관리의 한계 등도 지적됐다.
주승용 의원은 “민간위탁역장제도은 전문성 부족, 역장 노령화, 비상대응 인력부족, 도급계약에 따른 현장 직접관리 한계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할 때 전반적인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