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에서도 개헌론이 불붙기 시작했다. ‘김무성 파장’으로 야당의 움직임이 더 커진 것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앞서 중국 방문 중에 개헌론을 언급했었고, 이에 따른 파장이 확산되자 김 대표는 귀국과 동시에 박근혜 대통령에게 사과하는 모양새를 취했다. 김무성 대표는 치고 빠졌지만, 그로 인한 파장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개헌론에 대해 그동안 언급을 자제해오던 새정치민주연합 차기 당권-대권 주자인 문재인 비대위원은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헌법에 대한 논의는 국민의 권리”라며 박근혜 대통령과 각을 세웠다.
문 비대위원은 “국민의 대표이고, 각자가 헌법기관인 국회의원이 국민의 뜻을 대변해서 국가의 바람직한 미래를 위해 개헌을 논의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며 “누구도 그걸 못하게 막을 수 없다. 대통령이 국회차원의 논의를 막는 것은 월권이고, 삼권분립을 무시하는 독재적인 발상”이라고 맹비난했다.
문 비대위원은 이어, “특히 경제를 끌어들여 논의를 막는 것은 전혀 설득력이 없다. 개헌논의 때문에 경제를 살릴 수 없다는 말은 국민의 수준을 얕잡아 보는 궤변”이라며 “경제는 경제대로 열심히 하고, 개헌논의는 개헌논의대로 하면 될 일”이라고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 블랙홀론’에 대해 강하게 반박했다.
문희상 비대위원장도 이 자리에서 “제왕적 대통령이라 할지라도 국회의 개헌논의를 틀어막을 수는 없는 것”이라며 “김무성 대표의 개헌 해프닝은 결코 해프닝일 수가 없다”고 말했다.
문 위원장은 “현 정치체제의 한계는 대통령 스스로 드러낸 것이고, 이를 고쳐야 한다는 논의는 이미 시작됐다고 생각한다”면서 “대통령은 여야 의원 150명이 참여하고 있는 개헌추진 국회의원 모임이 있고, 한 설문조사에서 국회의원 230여명이 개헌의 필요성에 동의하고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