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8월 발생했던 석촌 싱크홀 사고가 사전에 예방할 수 있었던 것으로 드러나면서 이에 따른 파장이 주목된다.
20일 새누리당 김희국 의원은 2013년 10월 한 달간 실시됐던 ‘책임 감리제 건설공사장 감사’의 자료를 토대로, 석촌 싱크홀이 발생한 지하철 9호선 919공구에 감리업체의 ‘부실감리’가 대거 적발됐음에도 서울시가 현장조사 및 적극적 후속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사실을 지적했다.
감사내용에 따르면 지하철 9호선 919공구 감리업체인 수성엔지니어링 외 4개사는 월 3회 이상 품질 및 안전 합동회의에 참석하여 공사현장 품질 및 안전형황을 보고해야한다.
그러나 관련업체는 2010년 8월 이후 현재까지 33개월이나 안전사항에 대한 회의를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 개착구간의 버팀대 축력 및 인장력 계측 또한 설치 후 최소 3일 동안 매일 3회씩 실시해야하지만 매일 1회 계측에 그쳤다.
공사를 기록하는 사진도 철근 지름과 간격, 벽두께 등을 명확하게 알 수 없는 상태로 촬영되어 보관하고 있었으며 측벽 보강시공 등 68건의 시공상세도에 대해서도 책임감리원의 확인을 누락시킨채 ‘승인’ 처리한 사실이 드러났다.
특히, 감리업체들은 시공사가 매일 실시해야하는 환경관리 일일점검 및 평가 또한 실시하지 않아도 되도록 편의를 제공한 것으로 밝혀져, 이에 대한 책임 추궁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은 “2013년에 이미 본 공사의 감리부실이 적발됐고, 본 감리업체를 발주처인 서울시가 지정한 것을 감안할 때, 석촌 싱크홀 사고와 관련하여 서울시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감리부실이 발생했을 때 조금만 더 적극적으로 서울시가 현장조사 및 시정조치를 취했다면, 싱크홀이 동일 장소에서 7개나 발생했을까 의문이 든다”며 “자체감사를 통해 충분히 대처할 시간이 있었음에도 턴키라는 이유로 모든 책임을 시공사에 전가하는 서울시의 태도에 문제가 있다”고 일침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