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와 대한간호협회(이하 간협)가 에볼라 피해지역에 보건인력이 파견되는 문제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22일 용산구 이촌동 대한의사협회에서 의협과 간협 두 단체가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에볼라 피해지역에 보건인력이 파견되는 문제에 대해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지금까지 라이베리아에서만 184명의 보건의료 인력이 감염되었고 절반이상이 사망했다”며 “에볼라 바이러스에 노출될 때 의료진이 겪는 위험이 크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또한 이들은 개인보호장비에 대해 “현재 (현지)전국 에볼라 국가지정 격리병원에는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에 부적합한 level D 등급의 안전보호구가 지급되어 있다”면서 “세계보건기구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가 제안한 level C 등급의 보호구는 일부 병원에 국한하여 그것도 소량만이 지급되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내 의료기관에도 level C 이상의 안전 보호구를 조속히 지급하고 국민과 파견 의료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해당 의료전문가 단체에서 의료진 파견과 사전 교육 및 사후관리가 엄격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대한의사협회 추무진 회장은 “지금까지는 정부가 에볼라의 유입을 성공적으로 차단해왔지만 지금은 상황이 많이 바뀌었다”며 “에볼라 환자와 직접 접촉을 가진 파견의료진이 국내로 복귀했을 때의 상황에 대해 국민들이 우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가 안전·방역체계와 의료인 안전 보장에 문제는 없는지 점검하고 의료인력 파견 이전에 철저히 대비할 것을 촉구한다”고 표명했다.
덧붙여 대한간호협회 김옥수 회장은 “간호사의 경우 환자와의 접촉빈도가 높고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과 접촉할 가능성 또한 높다. 어떤 인력보다도 에볼라바이러스 감염이 우려되는 인력”이라며 “보건인력 파견에 앞서 정부가 충분한 개인보호장비를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국경없는의사회의 경우 사전교육과 훈련을 2주 동안 실시한 후 '완벽하다'고 판단된 의료진만 서아프리카에 투입한다”면서 “투입되는 인력에 대해 철저한 사전교육이 필요하며 감염예방을 위한 안전매뉴얼을 속히 보급하라”고 주문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