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10만 명당 평균 8명 기록

최근 6년간 OECD 가입국의 산재사고 사망률 가운데 우리나라의 산재사고 사망률이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이석현 의원이 국정감사에서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우리나라의 산재사망률이 근로자 10만 명당 평균 8명을 기록했다.
이는 15명을 기록한 터키, 10명을 기록한 멕시코에 이어 세 번재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사망을 제외한 산재사고 재해율에서는 근로자 10만 명당 6년간 평균 592명으로 OECD가입국 중 낮은 편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고용노동부에서 제출한 ‘산재 미보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지난 3년간 산재사고 미보고로 총 2790건을 적발한 가운데 사망은 단 1건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사망사고는 은폐가 불가능하지만 사망 외 산재사고에 대해서는 은폐가 만연하다고 주장하며 고용노동부에 산재은폐 근절방안 마련을 요구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