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론조사전문기관 <한국갤럽>이 31일 발표한 10월 5주 주간집계에 따르면, 우리 국민 51%는 전작권 재연기에 대해 ‘잘한 일’이라는 의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잘못한 일’이라는 의견은 32%였고, 무응답이 18%였다.
‘잘한 일’이라는 의견은 주로 새누리당 지지층(73%)과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 평가자(69%), 대구/경북(64%), 50대 이상(약 60%) 등 보수성향에서 높게 나타났고, ‘잘못한 일’이라는 의견은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50%)과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 평가자(51%), 광주/전라(46%)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북한의 전쟁 도발 위험성에 대해서는 ‘없다(별로+전혀)’는 응답이 53%로 과반 이상이었다. 하지만, ‘있다(많이+어느 정도)’는 응답도 42%로 만만치 않게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많이 있다’는 응답은 10%, ‘어느 정도 있다’는 응답은 32%였으며, ‘별로 없다’는 응답은 37%, ‘전혀 없다’는 응답은 53%였다.
이 같은 조사 결과는 6년 전인 지난 2007년과 비교했을 때 ‘없다’는 의견이 크게 높아진 것이다. 당시에는 ‘위험성이 있다’는 응답이 51%, ‘없다’는 응답이 45%였다. 다만, 지난해에는 북한의 3차 핵실험 직후였음에도 ‘위험성이 있다’는 응답이 35%, ‘없다’는 응답이 61%라는 결과가 나왔던 바 있었다. 결과적으로 6년 전과 비교했을 때는 위험성이 없다는 응답이 높아진 것이지만,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는 다시 위험하다는 응답이 높아진 것이다.
연령별로는 20대의 59%가 ‘위험성이 있다’고 답했고, 30대부터 50대는 약 60%가 ‘없다’고 답했다. 60세 이상은 ‘있다’는 응답과 ‘없다’는 응답이 똑같이 44%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성향별로는 새누리당 지지층에서 ‘위험성이 있다’는 응답과 ‘위험성이 없다’는 응답이 똑같은 48%씩으로 나타났지만,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에서는 ‘있다’(36%)는 응답보다 ‘없다’(62%)는 응답이 크게 우세했다. 무당층에서는 41% vs 52%로 ‘없다’는 쪽이 더 높았다.
남북한 군사력 비교에서는 우리가 우세하다는 의견과 북한이 우세하다는 의견이 팽팽했다. ‘우리가 우세하다’는 의견은 43%였고, ‘북한이 우세하다’는 의견은 42%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난해 6월 같은 조사에서는 ‘우리가 우세하다’는 의견이 56%로 ‘북한이 우세하다’는 의견 30%보다 월등히 높았던 바 있다. 이 같은 인식의 변화와 관련해 <한국갤럽>은 “최근 밝혀진 각종 군납 비리와 군 기강 해이 사건 등의 영향을 짐작케 했고, 특히 여성들이 이를 더 민감하게 받아들인 듯하다”고 지적했다.
북한 핵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 안보에 위협적’이라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우리 안보에 (매우+어느 정도) 위협적’이라는 의견은 74%에 달했고, ‘(별로+전혀) 위협되지 않는다’는 의견은 23%에 그쳤다.
이 같은 조사 결과에 대해 <한국갤럽>은 “우리 국민 중 74%는 북핵이 한반도 안보에 위협적이라고 느끼며 북한이 실제로 전쟁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고 보는 사람도 42%로 적지 않다”며 “전작권 환수 시기 재연기에 대해서는 51%가 긍정적으로, 32%는 부정적으로 평가했는데 특히 북한의 핵이나 전쟁 도발을 우려하는 사람들이 이번 결정을 더 잘한 일로 봤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주 박근혜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은 3주째 변동 없이 46%를 기록했다. 부정평가만 지난 주 대비 1%p 빠진 44%를 기록했다.
정당 지지도 또한 큰 변화가 없었다. 새누리당은 43%, 새정치민주연합 20%로 양당 모두 1주 전 대비 1%p 하락했다. 정의당은 3%, 통합진보당 3%, 무당층 31%로 나타났다. 무당층만 1주 전 대비 3%p 증가해 변화가 컸다.
이번 여론조사는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1,02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RDD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응답률은 15%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