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의원이 ‘친노 해체’를 언급했다는 얘기가 들린다. 문재인 의원은 7일 보도된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계파를 불식하는데 앞장서 노력하겠다”며 “필요하다면 ‘문재인 계파는 없다. 만들지 않겠다’, ‘친노 해체’ 이런 식의 선언이라도 하겠다”고 말했다. 문 의원은 “그런 선언이 근원적인 해법이 아니고, 공천 같은 계파주의의 근본 원인을 아예 없애야 하지만 그래도 필요하다면 이런 선언도 할 생각”이라고 덧붙여 밝혔다.
친노 좌장으로 불리며 사실상 친노에 의한, 친노를 위한 정치를 해왔던 문재인 의원이 이처럼 ‘친노 해체’를 언급했다는 점에서 관심이 모아진다. 어떤 배경이 있었던 것인지 알 수 없지만, 일단 야당의 고질적 문제 해결의 단초가 열리게 됐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런데 문제는 문재인 의원만 친노 해체를 선언한다 해서 그 결속력 두터운 친노가 해체되겠느냐는 데 있다. 사실 최근 야당 안팎에서는 친노의 분화를 얘기하는 목소리들을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다. 지난 대선까지 문재인 의원을 중심으로 친노의 결집이 이뤄졌었지만, 지금은 꼭 그렇지 않다는 얘기다.
지난해 사초 공개 논란부터 시작해 때때로 문 의원이 보여 온 미숙한 정치력으로 친노 초선들의 실망이 커졌고, 최근에는 문 의원도 친노 초선들에 대해 통제가 불가능한 수준까지 됐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그러면서 관심을 받고 있는 인물이 바로 안희정 충남지사다. 친노는 지금 문재인과 안희정 두 사람을 두고 서서히 분화되는 과정을 겪고 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문재인 의원이 ‘친노 해체’를 언급했다는 것은 다양한 해석을 낳게 한다. 그가 ‘脫친노’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지난 대선에서 이미 친노 후보로는 대권이 불가능함을 경험한 바 있는 문재인 의원이다. 그런 상황에 최근 당 안팎에서는 비노 인사들을 중심으로 친노 패권주의 깨기 움직임이 일며 심지어는 신당창당까지 언급되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
이대로라면 문 의원은 차기 대권에 다시 나서더라도 야권의 반쪽 지지만을 얻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게다가 앞서 얘기했듯 일부 친노 인사들은 지금 또 포스트 노무현으로 안희정 지사를 염두에 두고 있는 상황이니, 문재인 의원으로서는 어떻게든 새 판짜기를 모색할 수밖에 없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 점에서 최근 정치평론가인 박상병 박사의 발언은 주목할 만 하다. 문재인 의원이 당내 비주류가 만족할 만한 당 혁신을 주도해야 하지만 친노 강경파 초선들에 의해 결코 움직임이 가볍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박상병 박사는 “그렇게 되면 문재인 의원도 탈당해 신당에 합류해야 한다”고 말했다. 분위기상 가볍게 던진 말인 듯 했지만, 문재인 의원의 지금 ‘친노 해체’ 발언은 박상병 박사의 조언에 힘을 싣고 있는 모양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문재인 의원의 진정성이다. 지금 그가 말하는 ‘친노 해체’가 과연 누구를 위한 계파 해체냐가 중요하다. 문 의원 자신의 차기 전략을 위한 친노와 선 긋기라면 그 자체만으로도 비판받아 마땅할 것이다. ‘친노 해체’는 야당의 고질적 계파갈등을 청산하기 위한 차원에서, 그리고 비노-비주류가 더 이상 원심력에 휘말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뤄져야 할 일이다. 문재인 개인의 대권 플랜으로 ‘친노 해체’를 선언한다는 것은 또 다른 보스 정치이자, 또 다른 갈등의 씨앗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누가 먼저 말을 꺼냈든, 이제 강경 친노파도 스스로 계파청산 의지를 보여야 할 때가 됐다. 강경 친노파가 문 의원에 힘을 보태지 않는다면, 문 의원은 그야말로 친노로부터 팽 당하는 상황이 나타날 것이며 당 쇄신 또한 물거품으로 돌아가 버리고 말 것이다. 문 의원이 어렵게 운을 뗀 만큼, 계파 청산을 위해 모두가 힘을 모아야할 것이다. 이때 문 의원은 기득권을 가지려 해서도 안 되고, 진정성을 위해 한 발 물러서 있을 필요성이 강조된다. 지금 야당은 생사의 갈림길에 서 있다. 삶과 죽음을 결정짓는 것은 야당 최대 계파의 좌장인 문재인 의원의 진정성 유무에 달려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이다.
[박강수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