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륜 등 가족범죄 잇따라 충격
패륜 등 가족범죄 잇따라 충격
  • 황선아
  • 승인 2006.04.15 09: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늘어나는 존속살인, 가족해체가 원인
부모 구타, 존속 살인 등 끔찍한 가족범죄가 잇따라 우리사회에 충격을 던져 주고 있다. 지난 14일 경기도 중부경찰서에서는 “빚을 갚아주지 않는다”며 어머니를 흉기로 찔러 살해한 김모씨(27)와 이를 도운 친구 이모씨(27)등 세명을 긴급체포했다. 김씨는 어머니를 찾아가 친구 이씨에게 진 빚 400만원을 갚아달라고 요구했으나 어머니가 이를 거절하자 흉기로 가슴을 찔러 살해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들의 짐을 덜어주고 싶다는 이유로 선천성 불치병을 앓아온 어린 손자를 할아버지가 질식사시키고, 자폐증을 앓아온 자식을 아버지가 목 졸라 숨지게 한 뒤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심지어 남편이 아들과 공모해 부인을 납치ㆍ감금하고 폭행해 돈까지 빼앗는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파렴치한 일도 자행됐다. 사건 내용에 따라 안타까움을 사는 범죄가 있고 말 그대로 ‘패륜’으로 보여지는 범죄도 있지만 전문가들은 이런 가족범죄가 발생한 데 대해 ‘가족해체 현상’을 그 원인으로 꼽고 있다. 가톨릭대 이영호(심리학과) 교수는 "개별 사건마다 다르게 접근해야겠지만 이번에 발생한 가족범죄들은 이유가 어쨌든 가족 개념의 변화로 가족 구성원간의 끈끈한 관계가 약화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경제력이 좋지 않는 가정에서 발생하는 빈도수가 높은 것으로 보아 장기적인 경제침체로 인한 갈등도 복합적인 원인으로 보여진다. 실제로 유대 관계가 약해진 가정 안에서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될 경우 다소간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 경우가 보여 진다. 할아버지가 어린 손자를 숨지게 한 것은 둘째 아들 부부가 겪는 정신적, 경제적 고통을 안타깝게 여겼기 때문이고 어머니를 살해하고 부인을 납치한 경우도 결국 경제적인 문제와 관련돼 있었다. 경찰대 이웅혁 교수는 "결국 쪼들리는 생활 등 경제적 문제가 갈등 촉발의 원인이 됐고 가족간에 엽기적인 범죄로까지 발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가족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빈곤층이나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제도 마련을 최우선책으로 요구했다. 경기대 이수정(범죄심리학과) 교수는 "가족범죄를 윤리만으로 해결할 수는 없다"며 "사회, 정책적으로 선진국과 같은 복지제도가 마련돼야 하고 특히 정신지체자나 불치병환자 등을 국가가 돌봐줘 가정내 부담을 덜어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사회병리연구소 백상창 소장은 "뭣보다 사회 윤리가 실종되면서 문제가 벌어지고 있다"며 "정치권과 사회 지도층이 재빨리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