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윤리, 개개인의 인권에 해당하는 문제임을 강조
황우석 사태 이후 생명과학 연구의 윤리적 측면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생명윤리의 국제적 기준에 대한 궁금증이 일고 있는 가운데, 4월 21일 ‘생명윤리와 인권 보편선언’에 대한 토론회가 열린다.
이 선언은 점차 세계화되어 가는 생명공학 분야 연구 추세에 따라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국제 지침을 제공하고자 유네스코가 각국 정부전문가와 국제기구, NGO 등과 많은 협의를 거쳐 2005년 총회에서 채택한 것이다.
생명윤리 선언 이전에도 유네스코는 ‘인간 유전체와 인권 보편선언(1997)’과 ‘인간 유전자 데이터 선언(2003)’을 채택하여 생명과학 발전에 이에 따른 이슈에 대해 논의하고 지침을 제공하였다. 생명윤리 선언은 생명윤리가 개개인의 인권에 해당되는 문제임을 강조하면서 동의 문제, 자율성 존중, 프라이버시 보호, 사회적 책임, 이익 공유 등의 원칙을 제시하고 윤리 위원회 구성과 생명윤리 교육 강화 등을 권고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김승윤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과학팀장이 선언 제정을 위한 과정과 선언의 취지를 소개하고, 권복규 이화여대 의대 교수가 유네스코의 이전 선언과 헬싱키 선언 등 다른 국제 문서와 이 선언을 비교하여 의미를 짚어본다. 또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한림대 법학과 이인영 교수는 선언의 권고사항과 국내의 현황을 비교하여 실천을 위한 제안을 한다.
선언의 국문 번역본과 자료들이 공식 배포되며 관심있는 사람은 누구나 토론회에 참여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