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대래 공정위원장 사퇴에 공정위 ‘패닉’
노대래 공정위원장 사퇴에 공정위 ‘패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원들도 예상 못해…방산 비리에 대한 문책성 인사?
▲ 18일 노대래 공정거래위원장이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른 인사로 전격 교체됐다. 사진 / 홍금표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른 인사를 단행하면서 노대래 공정거래위원장도 돌연 사퇴했다.

아무도 예상치 못한 이날 노 위원장의 사퇴로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충격에 빠진 모습이다. 직원들은 이날까지도 노 위원장이 오후에 참석할 예정이었던 네이버의 공익법인 출범식 일정을 준비하고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위 관계자는 “공정위 내부에서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며 “이날 오전 노 위원장이 간부회의를 주재했고, 오후에도 외부일정이 예정돼 있었다”고 말했다.

갑작스런 공정위원장 교체 배경에 대해서는 통영함 등으로 불거진 방산 비리에 대한 책임을 물은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국무회의에서 방위산업 비리를 “절대로 용납할 수 없는 사안”이라며 방산 비리 척결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른 후속조치로 이뤄진 경질성 인사라는 것이다.

실제 이번 인사에서 임기 만료나 신설부처가 아닌 곳 중에서 교체된 장관급 인사는 공정거래위원장이 유일하다. 노 위원장은 지난 2011년 3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제6대 방위사업청장을 지낸 바 있다. 이날 인사에서는 방산비리 책임을 지고 물러난 이용걸 방위사업청장(차관급)의 후임 인사가 이뤄졌다.

<머니투데이>는 노 위원장이 전화통화에서 “이번 사임이 방사청장 시절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고 보도했으나, 이날 오전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이 일신상의 이유로 돌연 사퇴를 제기한 것과 맞물려 노 위원장의 사퇴도 문책성 인사가 아니냐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지난달 새정치민주연합은 방산비리의 원인을 ‘군(軍)피아’로 지목하면서 통영함 비리를 책임져야할 인물로 당시 방위사업청 함정사업부장인 황기철 해군참모총장과 방위사업청장을 지낸 노대래 위원장을 지목한 바 있다. 통영함 비리는 2억원짜리 불량 수중음파탐지기를 41억원에 구입한 방산 납품 비리사건이다.

한편 노 위원장의 후임으로는 정재찬 전 공정위 부위원장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전 부위원장은 경북 출신으로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셀포드대 경제학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행정고시 21회로 공직에 입문한 뒤 경제기획원을 거쳐 공정위에서 하도급국장, 경쟁국장, 기획관리관, 기업협력단장, 카르텔조사단장, 서울공정거래사무소장, 상임위원, 부위원장 등 핵심 요직을 거쳤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